서울대도 복수전공하는 데 힘들기는 매나 한가지네요

글쓴이2014.01.23 10:10조회 수 4394댓글 1

    • 글자 크기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3&aid=0002669918&date=20140123&type=1&rankingSeq=4&rankingSectionId=102


취업난 시대 複數전공의 그늘

졸업장에 본·부전공 구분 안해 취업때 전공 바꿔쓰는 사례도


서울대 인문대 4학년 이모(27)씨는 올 상반기 취업을 앞두고 이력서에 전공을 뭐라고 쓸지 고민 중이다. 그는 "본(本)전공은 인문학, 제2전공은 경영학인데 이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는 기업도 있다고 해 경영학을 앞으로 내세우고 싶은 유혹이 든다"고 말했다.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많은 대학생이 선택하는 '복수 전공'이 '학과 세탁' 수단으로 변질하고 있다. 2004년 고려대가 대학 최초로 복수 전공제를 의무화했고, 서울대(2008년) 등 주요 대학 역시 일부 단과대를 제외한 모든 재학생이 두 개 이상 전공을 갖도록 했다. 학문 간 융합·통섭(統攝)을 강화하고, 전공 선택권을 늘리겠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취지와 달리 인문학 등 세칭 '비인기 전공'의 취업 준비생이 경영학·경제학 등을 본전공으로 바꿔치기하거나 자기소개서 등에서 본전공보다 제2전공을 더 앞세우는 '전공 세탁'용으로 변질되고 있다. 서울대처럼 졸업장에서 본전공과 제2전공을 구분하지 않는 대학도 상당수인 데다가 이수(履修) 학점도 동등한 경우가 많아 졸업·성적증명서까지 세밀하게 확인하지 않으면 분간이 어렵기 때문이다.

A대기업 인사 담당자는 "첫 번째 적는 전공을 본전공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일부러 바꿔 적었다면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양심에 달린 문제"라고 말했다. 졸업·성적증명서를 전수(全數) 조사한다는 B대기업 관계자는 "실제 본전공과 제2전공을 바꿔치기하는 사례가 꾸준히 적발돼 서류 전형에서 떨어뜨리고 있다"며 "경영학을 제2전공으로 적고 입사한 뒤 '○○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고 자기소개를 하고 다니는 신입사원도 과거에 비해 부쩍 눈에 띈다"고 말했다.

'상경계열 우대' 일변도의 취업 풍토가 이 같은 부작용을 낳았다는 지적도 있다. 취업 포털 인크루트가 지난해 기업 인사 담당자 254명 대상으로 벌인 설문 조사 결과 33.5%가 "경영학 전공자만을 선발하거나 우대하는 직무(부서)가 있다"고 밝혔다. 이씨는 "'상경계 전공자'로 입사 자격을 제한한 기업도 많아 우리 같은 세칭 '비인기 학과' 졸업자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복수 전공을 내세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 서울대에선 2008년 복수 전공제가 의무화된 이후 학문 간 선호도 서열화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새누리당 박성호 의원이 22일 서울대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복수 전공 현황'에 따르면 2009년부터 작년까지 5년간 복수 전공 지원자가 가장 많았던 학과 1위는 경영대였고, 2위는 경제학부였다. 작년 경영대는 복수 전공 정원 135명에 263명이 몰렸고, 커트라인 평균 학점 역시 3.8점(4.3점 만점)이나 됐다. 92명 모집에 229명이 몰린 경제학부 역시 커트라인이 3.85점이었다. 반면 인문대는 5년간 복수 전공 지원자 중 1명을 뺀 전원(全員)을 합격시켰지만 대부분 학과가 한 자릿수 지원자를 받거나 아예 지원자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작년 불어불문학과·서양사학과(각 3명), 노어노문학과·언어학과·종교학과(각 2명), 동양사학과(1명) 복수 전공 지원자는 매우 적은 수준이었다.

3학기 이상 이수자부터 복수 전공을 신청받는 서울대에선 신입생 때부터 '인기 학과' 복수 전공을 위해 학점 경쟁이 치열하다. 인문대 졸업생 김모(27)씨는 "1학년 1학기 때부터 학점 경쟁에 뛰어들어 겨우 경영학을 복수 전공했지만 작년 하반기 취업에서 모조리 탈락했다"며 "'제2전공 경영학'은 아무런 쓸모가 없어 고생해서 복수 전공을 할 필요가 있는지 회의가 든다"고 말했다.

배영수 서울대 인문대학장은 "복수 전공으로 받은 '경영학사(學士)'를 기업들도 매력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방증(傍證)"이라며 "단일 전공만으로도 제대로 된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전공 교육 체계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21888 돈 절약하는 팁! 일상의 지혜!17 착잡한 터리풀 2016.08.22
21887 자유관 신축!!!!15 해괴한 섬잣나무 2016.11.02
21886 교내 행정고시 합격자 플래카드 걸린 곳?3 화려한 우산나물 2016.11.21
21885 여성분들 남자 키 176이면 어때요5 더러운 떡쑥 2017.06.30
21884 사랑니 뽑기에 차치과 괜찮나요?4 활동적인 주름조개풀 2017.08.25
21883 도서관에서 폰을 뒤지게봐요13 안일한 개미취 2017.10.07
21882 부산대 히든 라인업에 '러블리즈' 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4 방구쟁이 민들레 2018.05.12
21881 aoa 컴백했는데 꼴페미들이 멜론점령했다;;4 초라한 참새귀리 2018.05.29
21880 [레알피누] 오늘도 도서관의 밤은 밝습니다.16 정중한 홀아비꽃대 2018.12.15
21879 발전소 공겹 다니는데 오지 실감나네요..17 촉박한 섬초롱꽃 2020.07.31
21878 이제 머리 어디서 자르지2 찬란한 둥굴레 2022.07.23
21877 버릇없는 친오빠 어떡하지..20 미운 금붓꽃 2012.12.08
21876 길잃은 아이를 보게되거든 조심하세요7 겸손한 가시오갈피 2013.03.05
21875 하루에 5킬로뺄수있나요?19 특이한 개머루 2013.12.12
21874 이제 드클 발표가 얼마 남지 않았군요5 유능한 배나무 2013.12.17
21873 재무회계->재무관리 순인가요?6 우수한 장구채 2014.01.15
21872 도서관 오면 좀 씻고옵시다5 초조한 사철채송화 2014.04.14
21871 친구한테 이중잣대라고 했다가 싸웠서요....55 화려한 아프리카봉선화 2014.06.18
21870 졸업토익점수 언제까지제출인가요?? 기말고사까지인가요??6 멍한 우산이끼 2014.11.05
21869 미적 안배운 문돌이입니다29 정중한 산철쭉 2014.11.1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