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사고 조선 기계 전자..

글쓴이2014.04.17 16:13조회 수 2723추천 수 1댓글 17

    • 글자 크기
이번 사고랑 천안함 처럼
해양조건 특히 잠수부 투입하고 작업하는게
문제인거 같은데...
중요한것이 생존자 확인이라고 보는데요
울학겨가 조선 기계 전자가 좋다든데
세과가 공동연구하고
정부보조 받아서
수중 로봇? 개발?가능하지 않을까해서요
빠른 급류에서 버티고
위급시? 연결 두절되면 경로 찾아 나와서 회귀
이건 로봇청소기 보공 ㅎ
그리고 왜 음파나 목소리? 같은걸로 사람위치 파악기능
수중이니까 카메라 적외선이나 라이트달고요
크기는 작을 수록?좋겠죠?
추가적으로는
산소발생 장치나 앞에 태블릿하나 달아서
수중이니까 목소리보다는 메세지기능이 더 갠춘할듯
이런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가요?
잘만 개발하면...
아마도 이게 만톤짜리 크레인보다 저렴할거 같아서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갑자기 스티븐 잡스 생각남... 자기는 생각한 것 대 만들라고 시키는 게...
  • @민망한 노간주나무
    안되면 되게하라 .. 고 정주영...
    나와있는? 기술들인거 같아서용
    공대가 아니라 잘몰라서 ㅎ 기분나빴음 지송여
  • 이런 사람도 있긴 있어야겠죠... 에휴...
  • @멍청한 개비자나무
    불가능?한거? 였군요...
    이런사람.... 이 있어서 세상이 바뀔 수...
    없겠네요 에휴.
    많이 한심한가요?
  • @글쓴이
    솔직히 저런 게 필요한지 몰라서 안만드는게 아닙니다. 수중로봇은 꾸준히 연구되고있어요. 저런 악조건에서 쓰걸 만들기엔 기술력이 부족한거죠
    몇년 전이지만 우리학교에서도 봤는데
  • @멍청한 개비자나무
    넵 ㅋ 덕분에 좋은 정보 얻고 가네요
  • 저는 전자과인데 제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사실상 원격제어가 거의 불가능하기에 개발하기가 매우 어려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속에서 무선통신을 하려면 주파수가 낮야하는데, 그러면 데이터를 많이 담지를 못해서 실시간 화면전송같은게 힘들어죠. 그러면 로봇을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울 겁니다.
    쉽게 말해서 자동차를 원격으로 운전하는데 왼쪽으로 핸들을 꺽으면 10초뒤에 반응하게되는 그런 기술적 한계가 있을거란말이져~
    *학부상수준의 제 생각이라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끌려다니는 이고들빼기
    글쿤여 물속은 더 어려운 조건이네요 ㅎ
    하긴 안그랬으면 벌써 구조하고 있겠죠
  • 그걸 떠나서 강한 물살을 견디려면 버티는 동력이필요한데 바다속에선 스크류로 동력을 만드는수밖에없죠 근데 작은로봇엔 배처럼 연료통을 넣을 공간이없어 화석연료를 사용못해요 따라서 전지를 이용해야하는데 전지로낼수있는 힘은 한계가있죠 또한 전지로 한다고하여도 작은전지로 움직이는 로봇이 얼마나 작동하겠어요 실현시키려면 작은부피를 차지하면서 높은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가필요한데 그건 뭐 아이언맨에서 나오는 소형원자로를 탑재시켜야 가능한 공상과학만화같은일이죠. 또 배에서 보듯이 물속에서는 방향전환이 자유롭지못합니다 단지 스크류만으로만 함정속처럼 좁은공간에서 자유롭게 방향전환한다는것은 정말 엄청난기술력이필요하죠 동시에 조류까지견뎌야하니.. 노답
  • @냉철한 석잠풀
    넵.. 쉽게생각했는데 역시
    공대분들 대단
  • 공밀레공밀레
  • 그보다 함선몇척 투여해서 배를육지까지 끌어내는게나을듯
  • @배고픈 흰괭이눈
    그건 위험하다고 하던데
  • 언젠간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미래의 후손들은 안전한 삶을 보장받을거에요....ㅠㅠ
  • 걍 바닷물을 다 마시는게 속편할듯
  • 비전공자도 조금만 생각해보면 생각가능한 , 필요성이 큰 것을 개발 안하는 이유는 뭘까요?
    이유가 있겠죠?
    나쁘게 말하는건 아닙니다. 님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개발을 지시하거나 할 수 있으니까요
  • 가능, 불가능의 문제가 아니라..
    정부나 기업에서는 상업적인 부분에 투자하고 연구하길 원합니다.
    수중로봇은 실제로 존재합니다. ROV라고 유투브에 쳐보시면 실제 동영상도 있지요.
    현장에도 쓰입니다. 로봇크기도 매우 클 뿐더러 로봇팔로 해저에서 작업도 용이하지만 동력을 컨트롤선박에서 끌어쓰죠.
    당연 상업용으로 쓰이는거죠.

    하지만 소형인명구조로봇같은 경우는 연구개발에도 투자비가 꽤 들 뿐더러 이번경우와같은 사고가 흔히일어나지 않으니 효율성이 떨어지죠.

    차라리 수중조명탄이나..수중용접? 불가능할지모르지만 개발이 된다면 인명구조와 더불어 상업용, 군용으로 쓰일만하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56324 콘돔 중에5 착실한 산괴불주머니 2018.07.26
156323 ???: 여자일때랑 남자일때랑 형량이 다른것부터 문제아닌가요? 빼애액!26 꼴찌 야콘 2018.05.13
156322 문과는 2일이면 된다는거 증명해 보이겠습니다ᆞᆞ9 특별한 은분취 2018.04.14
156321 타학교 학생도 공부할수잇는 부산대내 공간이 있을까요18 푸짐한 물푸레나무 2016.04.02
156320 수강신청 pc 2대 동시접속되나요?9 청아한 바위떡풀 2015.02.04
156319 미시경제학-하종원 교수님 족보13 착잡한 마삭줄 2015.01.30
156318 토익 점수얻는게 예전보다 많이 힘들어지긴한듯..5 활달한 개감초 2014.02.28
156317 국장 전액이 나왔는데4 정겨운 홀아비꽃대 2014.02.20
156316 국가근로장학생 관련 질문2 키큰 조개나물 2014.01.30
156315 기계과에서 중어중문부전공 메리트13 코피나는 단풍마 2014.01.23
156314 송정에 엠티장소추천4 괴로운 율무 2014.01.20
156313 부산대 성추행 기사 순위권에 떴네요14 어두운 섬백리향 2018.12.16
156312 [레알피누] 공무원합격했는데 3학기가 남았을경우..15 개구쟁이 주름조개풀 2016.09.16
156311 컨닝하는 사람들 왜 봐줘요?22 야릇한 할미꽃 2016.06.17
156310 동래에 묻지마폭행ㅠㅠ25 아픈 마름 2016.05.25
156309 토익 파트 5 6 7 시간분배12 정겨운 도깨비바늘 2016.04.01
156308 다래끼 째보신분...12 날렵한 고란초 2015.12.18
156307 1학년 계절학기 두과목9 방구쟁이 닥나무 2015.05.21
156306 밑에 시험 난이도 물어보신분13 교활한 초피나무 2014.05.18
156305 아니 그놈의 공대에서 4점이... 그래 대단하오?16 해박한 향유 2013.12.26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