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별 사진 찍어본 적 있으신 분 계신가요?

멜버른2014.05.16 19:04조회 수 1709댓글 21

    • 글자 크기
필름 카메라로 별의 궤적을 찍으려고하는데요.. 가지고있는 게 삼각대와 필름카메라 밖에 없네요... ㅋㅋㅋ ㅠㅠ
필카로 찍어서 제출하는 것이 과제이긴헌데..
노출을 얼마나 해야할지... 달이 1시간에 15도 움직이니까 1시간쯤 노출해놓으면 될까요??
    • 글자 크기
혹시 지난주 중도에서 링으로 된 파일 보신 분 있으세요? (by 호이둘리) 통합 한국대 부산캠퍼스 예상 시나리오 (by 트랜서퍼)

댓글 달기

  • 카메라 렌즈 초점거리가 어떻게 되나요
  • @조선비
    멜버른글쓴이
    2014.5.16 19:07
    28에서 80mm까지입니다~
  • @멜버른
    1시간 노출하셔도 궤적이 나오는데 좀 짧게 나와서 그리 예쁘지는 않을 거에요.
    조리개도 적절하게 조절을 해야 하는데 도시에서 궤적을 찍기에는 하늘이 밝아서 적정 조리개가 얼마정도인지는 약간 애매한 면이 있어요.
    사진을 확대하실 게 아니라면 일단 35~50mm에서 20~30초 정도부터는 별의 흐른 모양이 나타난다고 보시면 되고.. 그 이후로 시간을 얼마나 하느냐인데
    그냥 궤적이 나타나게만 찍으려면 조리개 반정도 조여 준 다음에 말씀대로 한시간 정도 하면 짧지만 분명하게 궤적이 나타나고요.. 더 길게 찍고 싶으시면 역시 조리개 반쯤 조여서 신축이나 아파트 옥상 등 최대한 깜깜한 곳을 찾아서 찍으셔야 할 거에요. 한시간 이상씩 셔터 열어 놓으면 하늘이 꽤나 밝게 나와요.
  • @조선비
    멜버른글쓴이
    2014.5.16 19:18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조리개 좀 조여야겠네요~!
  • @멜버른
    아! 그리고 초점거리는 50mm보다 짧게..
    예쁘게 나올 것 같은 초점거리를 직접 판단해서 찍으시겠지만 35나 그보다 약간 아래면 괜찮을 것 같아요. 제 생각 ㅎㅎ
    사진 잘 찍으시기를.
  • @조선비
    오! 초점거리도 짧게해야되는군요, 이때까지 제가 죄다 반대로 하고있었네요 ㅠㅠ~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수정하여 다시 찍기시작해야겠어요~!
  • 2014.5.16 19:56
    BULB (벌브) 모드 있고, 릴리즈 사용 필수입니다.

    ISO 400 필름 쓰셔야 할거에요...

    보통 필카로 별 찍을 때,

    조리개F4~F5.6 셔터스피드는 15s 또는 30s 감도는 ISO 400 입니다~
  • @야뢰
    릴리즈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별 점상이 아닌 일주사진(궤적) 촬영이므로 바로 윗분처럼 찍으면 안되구요.

    필카로는 도시에서 일주 도전하시면 안됩니다. 그 교수님도참..ㅋㅋ 궤적사진에 필카를 많이 쓰긴 했지만 그건 과거 이야기고 디카로 궤적찍는게 훨씬 나은데.. 각설하고 필카로 궤적 찍으실거면 빛이 전혀 보이지 않거나 아주 희미한 곳에서 찍으셔야하며 달 또한 나와서는 안됩니다. 달이나 약간이라도 인공조명이 있다면 그것이 너무 밝아 카메라 필름에 과다 노출을 일으켜 심한 경우 필름이 타버려 해당 슬라이드 외에 모든 슬라이드를 날릴수도 있습니다.
  • @허니퍼니
    일단 빛이 없는 곳으로 가야겠네요..ㅠㅠ 어제 이 댓글 보기전에 달 찍고있었는데 필름 다 날아갔을까요.. 제 과제가 멀리 날아가는게 보이네요.... 세굿바....흑....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ㅠ
  • 필름 카메라로 도시에서는 궤적 촬영이 힘들다고 봐야되구요. 촬영이 가능은 하나 사진이 엉망으로 나올 가능성이 굉장히 높게 됩니다. 그래서 요즘은 다들 디지털 카메라로 인터벌 다중 촬영 후 합성 기법으로 별 궤적을 촬영하며 이것이 필름카메라로 촬영하는것보다 훨씬 낫죠.
    그나저나 그 수업이 어떤건지 궁금하네요. 그런수업 듣고싶었는데.
  • @허니퍼니
    부산대학교에서 듣는 수업은 아닙니다.. ㅠㅠ 저도 우리학교에 이런 수업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4가지의 주제가 있었는데 Portraiture, Likeness, In the War, Nocturnal 중 저는 마지막 것을 선택하여 David Stephneson의 Star Drawing을 모방&창작하는 걸 선택했는데 제 카메라로는 무리일 것 같네요..
  • 조리개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렌즈에 맺히는 상의 선명도와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인데 특별히 정해진 값은 당연히 없고, 사진을 촬영하면서 익힌 감으로 촬영지의 환경에 맞게 자신의 감으로 조절해야하는건데 빛이 많은곳에서는 아예 촬영 불가능(과다노출로 화면전체가 하얗게 나오고 심한경우 다른 슬라이드까지 영향), 조금 있더라도 영향을 주므로 주의하시고 되도록 매우 어두운 곳에서 북천을 바라보며 찍는게 좋으며 조리개를 너무 죌 경우 사진의 화질이 회절현상에 의해 매우 나빠지므로 렌즈의 dmf값이 가장 커지는 조리개값으로 촬영하는게 좋습니다. 물론 너무 어두울경우 더 밝은 조리개값으로, 너무 밝을 경우 더 어두운 조리개 값으로 촬영하면 되며
  • @허니퍼니
    일단 빛이 아예없는 곳으로 가야하는군요! 결과는 인화하기전까지는 알 수 없구요... 가로등이 없는 곳으로 위치를 옮겨서 오늘 밤 다시 시도해보아야겠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조리개 값도 적당히 조절해가면서 다양한 시도 해보도록하겠습니다!
  • 일반적으로는 필카촬영시 f4~5.6으로 많이들 촬영합니다. 반면 디카일 경우 f2.4~4정도로 많이 하구요.

    렌즈의 초점거리는 135mm기준으로 50미리보다 더 넓은 화각이라면 무슨 렌즈든 좋습니다. 물론 망원을 써도 그건 자유지만 좋은 사진 뽑기가 힘들구요. 가능하면 8mm의 어안이나 16mm정도의 초광각을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 @허니퍼니
    f4.8정도에 28mm로 시도해보도록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와~~무슨수업이길래 그렇게재밌는 과제를 내어주시나요?저도 별사진한번찍어보고싶네요..혹시 잘아시는분 단렌즈로는 무리겠죠..?좋은 줌렌즈가있어야 별사진을 찍을수있나요??
  • @ㄱㄴㄷㄹ

    적절한 초점거리의 단렌즈가 있다면 화질면에서는 줌렌즈보다 더 낫죠 ㅎㅎ

  • @ㄱㄴㄷㄹ
    사진 관련 수업이에요! :)
  • 별사진에는 단렌즈가 무리가 아니라 오히려 더 좋죠. 줌렌즈는 구조상 같은화각의 단렌즈보다 화질이 안좋을수밖에 없어서..
    별사진도 딥스카이 촬영같은거라면 카메라 렌즈를 쓰는게 아니라 망원경을 써서 t마운트 등을 이용해 부착 후 촬영하는거니 망원렌즈랑은 딱히 상관없는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면되요.
  • @허니퍼니
    망원렌즈가 아닌 것이 더 좋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질문 별 사진 찍어본 적 있으신 분 계신가요?21 멜버른 2014.05.16
1457 진지한글 통합 한국대 부산캠퍼스 예상 시나리오21 트랜서퍼 2018.12.06
1456 질문 컴활 학점 인정되는 자격증 질문21 [친구없음] 2018.04.17
1455 질문 부산에서 이 교정 잘하는 치과21 운동하는낙타 2014.07.30
1454 진지한글 .21 9514 2015.06.13
1453 가벼운글 광고배너를 저런걸 넣어놓네21 고요한느티나무 2018.06.08
1452 진지한글 방황하던 시절 도움 준 키다리 아저씨 찾기21 도미노 2014.06.01
1451 가벼운글 서울 vs 지방21 이쉐이미약해 2012.01.16
1450 진지한글 님들 .., 비빔면 있잖아요,..21 Qugugu 2018.05.26
1449 가벼운글 헤헤헤가 생각하는 3대 세계 난제21 헤헤헤 2011.09.01
1448 가벼운글 남자연봉 3600 괜찮은건가요?21 edition 2013.08.10
1447 질문 방학이라 독서좀 해보려고 하는데 질문입니다.21 언제공부해 2014.07.19
1446 가벼운글 한국사 1급 공부 팁21 가즈아ㅏㅏㅏㅏㅏㅏ 2018.05.14
1445 정보 마이피누 어플(v.2.2.2) 신기능(구독게시판,키워드 구독) 안내21 빗자루 2017.01.03
1444 가벼운글 [레알피누] 미꾸라지가 물을 흐리네요21 헌터펜스 2017.06.09
1443 가벼운글 경제수학이라는 과목 경제학원론 안듣고 바로 들어도되나요??21 긍정심리학 2016.08.01
1442 질문 유럽여행 가보신분들 질문있어요!!21 잠자는자대생 2014.05.18
1441 가벼운글 학교 근처 국수 정말 잘하는집21 Rayleigh 2013.06.17
1440 가벼운글 방학인데.. 뭐하시나요?21 Alto 2012.07.01
1439 질문 (인적성 도형추리) 대각선 개수 세기21 모롱모롱 2014.08.0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