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 석박사님들 논문 어떻게 쓰시나요?

글쓴이2014.05.28 00:41조회 수 1141댓글 16

    • 글자 크기
교수님이 주시는 주제에 맞춰서 공동으로 논문 쓰시나요?
아니면 스스로 주제를 찾아서 논문을 쓰시나요?
현상에 의문을 가지고 가설을 세우고 논문을 써가는 건가요?
스스로 궁금한 분야를 찾아서 논문 쓰시는 건가요?ㅠㅠ
발명하듯이..하는건가요?
논문 써가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ㅠㅠ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주제 선정, 그 주제의 현존 논문 탐색, 실험실에서 할수있는 수준의 세부 주제 설정. 보통 기존의 논문들과 거의 유사, 세부 조건혹은 방법만 다르게 설정. 이 정도 일듯
  • @난쟁이 병아리난초
    글쓴이글쓴이
    2014.5.28 00:52
    주제는 교수님 공동 프로젝트에서 선정해야 건가요..? 그러니까 거의 정해진걸 연구하는 건가요? 제가 하고싶은 주제 단독적으로 연구하는 건 아니죠?
  • @글쓴이
    거의 교수님 프로젝트 내에서 해야죠.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 거의 힘들듯? 그건 교수되고난 후에나. 근데 본인이 하그싶은 연구가 있으면 그 방면 실험실 들어가면 되지 않을까요?
  • @난쟁이 병아리난초
    글쓴이글쓴이
    2014.5.28 01:00
    만약 수도에서 나오는 유체의 출구모양에 따르는 진동흐름 조절 이라고 하면 진동에 관련된 실험실 가서 혼자 연구 할 수는 없는 노릇아닐까요?.. 교수님 실험실 가면 파이프 진동이나 다른 부분들 연구 하실 것 같은데요..ㅠ
  • @글쓴이
    관련 교수님 혹은 석박사분들께 문의 드려보는게 좋을듯
  • @난쟁이 병아리난초
    글쓴이글쓴이
    2014.5.28 01:07
    아직 학부생이라 이런것 묻기 애매한..ㅠ
  • @글쓴이
    그런거는 유체연구실에서 해요
    카이에 성현진교수님 포공에 유동현 설대에도 하나 있어요
  • @난쟁이 병아리난초
    글쓴이글쓴이
    2014.5.28 00:53
    현존 논문은 검색싸이트가 따로 있는건가요
  • @글쓴이
    많죠. 저널 챙겨 보거나. 구글 스칼라라던지 각종 학회, 대학 싸이트 들어가면 열람 가능.
  • @난쟁이 병아리난초
    글쓴이글쓴이
    2014.5.28 01:01
    무료인가요? 저널은 연도에 있는..?
  • @글쓴이
    유료도 있긴한데 학교내의 컴터로 접속하면 왠만하면 무료에요. 연도 4층?가면 저널 많고 교수님도 관련 저널 가지고 계세요
  • @난쟁이 병아리난초
    글쓴이글쓴이
    2014.5.28 01:05
    논문 쓰시는거 많이 힘드셨나요?ㅠ
  • @글쓴이
    ㅋㅋㅋ 저 4학년임. 아는척 죄송 , 뭐 다 사실들이긴함ㅎㅎ
  • @난쟁이 병아리난초
    글쓴이글쓴이
    2014.5.28 01:15
    괜찮아요~ 그래도 고마워요~
  • 공대 석사졸입니다.
    우선 윗 분께서 잘 정리해주셨네요!

    공대는 대학원 갈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를 비슷하게나마 연구하고 있거나 관련이 있다거나 실험에 필요한 장비를 갖추고 있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 모든것은 기본조건에 불가합니다.
    무엇보다 최우선이 되야 하는것이 교수님의 역량과 그 실험실의 활성도입니다.
    아무래도 우리학교는 메이저 대학원인 설포카 대학원에 비해 열악합니다. 그래서인지 인식도 좋지못하지만 본인만 열심히 할 자신있으면 우리학교에서도 충분하리라 보네요! 아무래도 4년다닌 학교에서 계속 공부할 수 있다는점과 학과의 교수님을 잘알고 판단하기 쉬운부분이 좋죠.

    설포카 대학원이야 정말 좋지만 새로운 생활을 다시 일궈내야하고 그 쪽 자대생과의 수준차이도 무시못해요. 본인이 정말 힘들 수 있지만 참아내면 배우고 얻는게 많습니다. 우리학교에 비해서요ㅋ

    본론은..논문주제 선정에 있어 교수님의 영향이 큽니다. 각 실험실마다 성향이 상이해서 기업과제나 정부과제, 즉 연구과제에 적극적이신 교수님이라면 실험실어서 끝내야 할 과제들때문에 본인 연구를 못하죠. 물론, 그 연구과제가 실험실에서 메인으로 여기는 분야에 크게 벗어나진 않지만 세부적으로 파고들면 본인 연구와 거리감을 느낄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해서 아예 못하진않지만 시간할애가 그만큼 분할이 되겠죠?
    그렇다보면 그 연구실에서 하는 연구과제에 관련한 논문주제를 정한다거나 비슷한 분야쪽으로 쓸 수밖에 없습니다. 석사 2년 무지 짧습니다. 보통 1년~1년반만에 논문이 완성되야하는데 주제선정부터 실험, 데이터 정리, 세미나, 학회참석, 학부실험조교, 교수님잡일 등 정신없어요..괜히 저녁 9시,10시가 퇴근시간인게 아닙니다ㅋ

    하지만, 글쓴이분처럼 아직은 두루뭉술한 타겟이라도 정하신 분이라면 최대한 비슷한 연구실적을 가지셨거나 이력이 있는 교수님, 실험실을 찾아 상담을 해보는것도 중요해요.
    미리미리 차근차근 알아놓으셨다면 진학에 있어 고민도 없을뿐더러 진학 후 논문도 금방 나오리라 보네요.
    논문자료가 필요하거나 검색사이트를 원하시면 글쓴이분의 학과내에 있는 실험실 아무곳이나 가서 그쪽 대학원생에게 물어보면 잘 가르쳐줍니다. 학교내에서는 무료고 왠만한 자료는 인터넷으로 찾아지구요.
    영문논문 많이 보세요. 검색어도 잘 쳐야하고 검색능력을 기르는게 학부때 제일 좋은 공부라보네요
  • 국내 논문 검색은 www.dbpia.co.kr 외국 논문은 http://ieeexplore.ieee.org/Xplore/home.jsp 에서 검색..

    학교 내에서 무료입니다...부산대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해도 되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29383 [레알피누] 도자위..1 촉박한 박주가리 2013.04.03
29382 등록후 휴학을 했다면 복학은 언제해야 하나요..?1 눈부신 아까시나무 2018.06.01
29381 오늘 건도 정상운영 하나요m?1 더러운 솔나물 2019.08.15
29380 .1 기쁜 호랑가시나무 2015.08.25
29379 새도 24시1 촉박한 딱총나무 2020.05.20
29378 우리학교 댄스동아리 뭐뭐 있나요?1 힘좋은 풀솜대 2015.06.25
29377 미칠거 같아도1 냉정한 무릇 2019.12.22
29376 [레알피누] ssci 논문 학교 도서관에서 볼 수 있나요?1 행복한 고추 2016.02.05
29375 경암체육관 카드분실1 귀여운 푸크시아 2016.10.16
29374 1 건방진 후박나무 2018.04.05
29373 .1 세련된 물박달나무 2014.08.05
29372 내일 새벽에 어제처럼 비올까요???1 한가한 대극 2020.07.24
29371 수학 영문교재1 똑똑한 부레옥잠 2018.03.06
29370 결국 총학 스스로가 우호적인 여론 선동하다가1 까다로운 금방동사니 2018.10.01
29369 모두 열심히 삽시다!!1 즐거운 시클라멘 2018.12.03
29368 정치와 국가윤리 민세명 교수님1 청렴한 거제수나무 2017.09.06
29367 쫄보가 폰 데이터 거래 방법이 궁금해요~1 훈훈한 다릅나무 2019.05.04
29366 캡스톤 디자인 돈 언제 입금되나요?1 날렵한 감나무 2015.04.11
29365 마이피누 글쓸때 파일첨부 말고 사진첨부 어떻게 하나요..?ㅜㅜ1 똑똑한 독말풀 2016.02.26
29364 장학금 관련 학생지원시스템 계좌등록1 절묘한 뱀고사리 2019.01.1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