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대고학번입니다.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글쓴이2014.05.31 07:50조회 수 11363추천 수 58댓글 35

    • 글자 크기

어제 마이피누 가입해서
글들 읽어보니까
cpa 합격률을 가지고
학교수준이 떨어졌네 하는 말이 있는데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왜냐하면,
로스쿨 요인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로스쿨 준비하시거나 들어간 분들은
알겠지만
부산대의 자교사랑은
수험가에서 유명하죠.
자교 배당 꽉꽉 채워서
뽑습니다.
(저는 일하고 있는 직장인이고
사시나 로스쿨과 관련있는
사람은 아니지만
로스쿨 간 친구들이 워낙 많아서
정보는 많습니다)
실제로 부산대 경영, 경제 출신
로스쿨 학생 수가 꽤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솔직히 스카이, 자교 법대출신 외에
뽑는 로스쿨 많이 없습니다.
소위 중경외시는 자교출신을
통틀어 한자리 퍼센테이지 입니다.
자교로스쿨이든 지방대로스쿨이든
거기 출신분들은 선택할수 있는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죠.
관심있으신분들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서울대는 그렇다쳐도 연고대는 어떤경우냐.
거기는 cpa도 많고, 로스쿨도 많지않느냐.
뭐 이렇게 물을수도 있는데요.
솔직히 그 학교들 사회과학대, 인문대 같은
취업이 애매한 과 출신들이
지방대 로스쿨에
많은걸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연고대 법, 상경출신도 우리학교
로스쿨에 있기는 하지만,
그 중 뛰어난 사람들은
사시, cpa 등을 이미 통과했지요.
로스쿨 분들이 들으면
화가나실수도 있겠지만,
솔직히 연고대 사회대, 인문대 출신분들이
학벌의 후광으로
헌민형 기초 다지기도 힘든
3년만에 변호사 라이센스
취득한다고 봐도
틀린말이 아니고,
로스쿨 간 법대동기들도
사석에서 으레 하는 얘기입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면,
첫째, 우리학교 로스쿨은 자대 제한을
꽉꽉 채워서 뽑는 몇 안되는
학교인 이유로
많은 상경계 학우들이
로스쿨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
cpa응시 인원중에
허수가 많다고 판단됩니다.
둘째, 제가 아는 부산대 상경계
상위권 분들
금융권 공기업 준비하시는 분들
많습니다.
지방인재특채라고 들어보셨겠지만
전국에서 부산대가 가장큰 특혜를
받고 있지요.
대표적으로 한국은행은
제가 입학할 당시
서울대 연고대 서강대 성균관대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이 8개 학교에만 원서를 다고 들었습니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은걸로 알고 있고요.
그리고 법대 여자동기 2명은
지역인재특채로 산업은행 들어갔고요.
스카이야 워낙 야망있고 쟁쟁한
사람들이 많아서
금공, 로스쿨, cpa 많이 하겠지만,
솔직히 서성한 중경외시와
부산대야 도토리키재기 아니겠습니까.
(적어도 제가 들어올때는
부산대 법대가 한양대 경영학과
보다는 입학점수가 높았습니다.
법대보다 점수높은데는
성균관대 법대랑 사회과학대,
한양대 법대 이상되는 곳들이었습니다.
뭐 격세지감이라고
거들떠도 안보던
중앙대 법대 따위
보다 저평가 받는
지금이랑은 많이 달랐죠.
저 좀 고학번 입니다.)
어차피 도토리 키재기들 끼리
한은, 산은, 캠코 같은
꿈의 직장(제가 다니고 있는 곳이라
제입으로 말하기는 좀 민망합니다만
관용적인 표현이라......)
을 갈 수 있는
절대적으로
유리한 길이 있고
아무래도
지방인재득채도 전공시험도 치니까
cpa강의로 준비하는 것도
대세고 하니 동강들으면서
cpa도 응시도 해보고
뭐 그런거 같습니다.
쓰다고니 거친표현이나 옛날얘기가
많군요.
아 그리고 후배님들
제가 뭐라도 되는 사람은
아니지만,
되도록이면
서성한이니 중경외시니
비교하는 것은 삼가해주셨으면
합니다.
저는 부산대는
스카이랑 경쟁한다고
스스로 생각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뭐 늙은 아저씨가 노망났다고
생각할수도 있겠지만은
로스쿨 배정이나 지역인재특채 같은
제도적 장치도 다 마련되어있고
제 개인적으로는
선배, 동기, 후배들이
부울경 지역에서 판사, 검사,
변호사 하고 있고,
메이져공기업 곳곳에
같이 술마시던 애들 박혀있고
대기업가면 글그치는게
부산대 출신들입니다.
뭐 물론 제 때도 동기들 사이에 패배감 같은게
있었습니다.
이건 여전한거 같은데
부산대의 이상한 인습이 아닐까 합니다.
그런데 그 비교의 대상이
최소한 성대나 한대 법대
이상이었지,
전혀 고려대상도 아니었던
소위 중경외시 법대 이하가
아니었습니다.
뭐 지금 어떤지는
대충들어 알고 있다만은
제가 졸업할때 부터
대한민국 전체 차원의
지방분권정책의 핵심대상이
부산대인데
이 기회를 중앙대나 경희대
따위랑 비교하면서
날려먹으려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저 입시때도 그렇고, 저희회사에는
소위 서성한 미만
수도권학교 출신
단 한명도 없으니 이런생각이
더 드네요)
등소평의 흑묘백묘론 있지않습니까.
국립대로서 국가의 지원을 받든
지방인재특채, 로스쿨, 메디스쿨,
한의학대학원 같은 몰아주기
특혜를 받든
그걸 잘 써먹서
스카이랑 대등하게 경쟁하면
되는거죠.

솔직히 서울쪽 사립대들

입시점수 다 공개 안하고 비인기과 없애면서

올라간걸로 자랑질 하고 있는데

이건 정부정책에 부응하는거니 명분이 있는거죠.

뭐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판단은 후배님들이 잘
하시리라 생각하고
저는 볼일보러 가야겠습니다.
수고하세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7683 휴학했는데 중도출입 및 좌석배정기 이용 가능한가요?2 미운 관음죽 2015.06.23
167682 휴학했는데 시간표에는 과목있는거..1 깔끔한 파 2015.09.09
167681 휴학해서 원룸을 내놓아야 할 것 같은데...3 착한 도라지 2014.07.26
167680 휴학해보신 분들4 현명한 물아카시아 2018.04.16
167679 휴학해도 학생예비군 처리되나요?8 즐거운 동자꽃 2018.01.29
167678 휴학해도 학교에서 문자는 계속오나요?3 코피나는 참다래 2018.09.11
167677 휴학해도 성적 장학금 받는 방법2 피곤한 별꽃 2019.02.07
167676 휴학해도 새벽벌도서관 이용가능한가요???3 아픈 비목나무 2018.01.09
167675 휴학할지 유예할지3 겸연쩍은 풀협죽도 2015.07.29
167674 휴학할수있나요?3 행복한 쉽싸리 2016.11.08
167673 휴학할려는데 원스탑 어떻게 들어가요? 한심한 호박 2018.02.20
167672 휴학할려구하는데 현금등록ㅠㅠ1 진실한 고삼 2015.08.10
167671 휴학할때 지도교수님 승인있어야하나요??2 촉촉한 상수리나무 2013.08.23
167670 휴학할때 등록금1 납작한 마삭줄 2014.08.23
167669 휴학할때 가정사정..4 생생한 메타세쿼이아 2014.06.25
167668 휴학할건데..2 참혹한 이고들빼기 2014.02.24
167667 휴학할건데 수강신청1 냉정한 담배 2014.01.30
167666 휴학할건데 수강신청1 힘좋은 댑싸리 2016.02.04
167665 휴학할건데 그래도 국가장학금 신청하나요?1 정겨운 갯메꽃 2014.01.03
167664 휴학할건더 절묘한 이팝나무 2016.03.0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