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줄을 서서 수강신청을 했지

부대신문*2012.05.03 19:00조회 수 790댓글 1

    • 글자 크기
    
   
▲ 빛바랜 우리학교 학생증이다
  이번 주부터 수강 신청 시스템을 교체하는 작업이 시작돼 이론적으로 15배, 실질적으로 2배 정도 빠르게 수강 신청할 수 있게 됐다. 수강 신청마다 시스템이 느리다며 아우성치는 지금, 과거 우리학교의 수강신청은 어떠했을까.
   1980년대 초, 수강 신청은 펀치 카드 시스템을 사용했다. 당시 학생들은 전자계산소 펀치실에 수강 과목 코드가 적힌 코딩 용지를 제출하면 담당자가 펀치 카드에 구멍을 뚫어 카드 판독기로 수강 신청을 했다. 1986년도에는 OMR카드가 도입돼 수성펜으로 과목 코드를 체크해 수강하는 방식이었다. 우리학교 정보전산원에서 25년가량 일한 김진백 팀장은 “당시 학생들은 바쁜 나머지 유성펜이나 볼펜으로 자주 써내곤 했다”며 “이러한 상황이 여러 번 반복돼 OMR카드 옆면만 봐도 유성펜인지 수성펜인지 구별할 수 있었다”고 웃으며 회상했다. 이후 PC를 이용한 수강신청 프로그램이 개발됐지만 학내 전산실에서만 신청할 수 있어 매 시간마다 학생들이 줄지어 기다리는 진풍경이 보이기도 했다. 2000년대에 인터넷으로 수강 신청하는 프로그램이 도입되면서 원하는 과목을 들을 수 있게 됐다. 과거에는 학과마다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 정해져 있었기 때문이다.
  학생증 역시 오랜 역사를 지닌다. 오늘날 학생들은 모바일 학생증 때문에 카드 학생증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과거 학생증은 여러모로 유용한 존재였다. 50년대 후반에 학교를 다닌 진광수(물리학과) 명예교수는 “급전이 필요하거나 술값이 없을 때 학생증을 맡기기도 했다”며 “당시 대학생 수가 소수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컴퓨터로 성적을 확인할 수 있는 지금과 달리 과거에는 성적표가 집으로 전송됐다. 이재양(생산기계 78, 졸업)씨는 “몇몇 친구들은 일부러 주소를 바꿨다”며 “과거에도 성적표는 학생들에게 두려움이었다”고 웃으며 말했다. 성적을 표시하는 방법 또한 다르다. 현재는 알파벳으로 등급을 매기지만 예전에는 절대평가로 점수를 매겼다. 진광수 명예교수는 “69점 이하는 재시험을 봐야 했었다”며 “우리 학과의 경우 공부를 더 시키려고 일부러 시험을 어렵게 해 여러 번 시험을 치루게 했다”고 회상했다.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2054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2012.5.20 10:44

    지금도 수강신청 경쟁 하는거 보면 경쟁이 심한 것 같았는데...

    옛날에는 정말로 헬게이트였군요...ㄷㄷ

    과사도 미어터지고 진짜 전쟁터를 방불케 했을듯.....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춥고 배고픈’ 예술강사의 삶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문화] 교육이라는 명목 하에 불안전한 근로계약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첫 시행된 온라인 투표 일부 불편의 목소리도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1555호 효원알리미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Pride iN U’ 총학 ‘자랑스러운’성과 보였을까?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부대신문 69.5기 수습기자를 모집합니다! 부대신문 2019.09.05
부대신문 [브리핑 뉴스] 1555호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스파이더맨:홈커밍> 자연에서 배우는 생체모방학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국가라는 생각이 안 든다 부대신문* 2018.01.31
효원헤럴드 ♥부산대 영어신문사 The Hyowon Herald와 함께 할 수습기자를 모집합니다!♥ HyowonHerald 2019.03.15
부대신문 부대신문과 효원헤럴드는 이번 학생회선거에 대해 다루시나요? 쿨쿨아기곰 2019.11.27
부대신문 장밋빛 비엔날레? 빛 좋은 개살구가 여기 있네 부대신문* 2014.10.30
부대신문 이름도 목소리도 없는 한국영화 속의 여자들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학생들의 자랑이 되기 위해 노력했던 한 해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나를 위한 하루, 몸과 마음을 힐링해보자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문화] 우리 학교 학생들 '나 명절 연휴 이렇게 보낸다!'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경영관 시설 개편 학생 의견수렴은 아쉬워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예술강사 '지원'은 어디가고 '착취'만 남았나] ②예술강사는 왜 고통받나?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대학] 자랑스러움이 되길 고집하다. 'Pride iN U' 총학생회 부대신문* 2018.01.31
부대방송국 ★부산대학교 방송국에서 제109기 수습국원을 모집합니다★ 부산대방송국 2019.02.27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