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가스 공기업 민영화되면?

무거운 족제비싸리2014.09.20 19:51조회 수 2045댓글 36

    • 글자 크기
전기값이랑 가스값 많이 오르겠죠?
근데 화력발전은 몰라도 원자력발전은 규제가 많아서 민영화되기 힘들것같은데 어떨까요?

지금 에너지 공기업 입사해도 퇴직까지 비전이 있을까요?
    • 글자 크기
정유사 망해가나요?? (by 과감한 솜나물) 자기고향 자랑해주세요 (by 착실한 백화등)

댓글 달기

  • 도시가스는 100% 민영화입니다
  • 원자력은 잘못하면 나라전체가 훅가는거라 민영화안되지 않을까요
  • 민영화라는 의도자체가 국민들 주머니 직접 털겠다는 의미인데.. 한숨이 나옵니다..
  • @의젓한 개별꽃
    공기업 수조원대의 적자를 국민 혈세로 보전 하는 건 직접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터는 건가요?
  • @교활한 명자꽃
    공기업 적자를 국민세금으로 보전하지 않는뎁쇼
    당장 한전만 봐도 땅팔아서 빚갚고 있는데
  • @가벼운 작약
    땅판건 130조 중에 10조입니다 적자가 무슨 꽁돈 입니까?
  • @교활한 명자꽃
    한전 적자가 무슨 130조냐? 55조인데 ㅋㅋㅋ
    그리고 적자가 누구때문에 생겼는지 찾아봐라
  • @가벼운 작약
    55조는 개별제무재표 상 부채고 자회사 합친 연결제무 기준으론 107조 다
  • @교활한 명자꽃
    그럼 민영화해서 전기세 한달에 20만원씩 내면 되겠네요 ㅋㅋ 안그래도 민자 발전소는 단가 존나 후려쳐서 한전 적자의 원인인데
  • @똑똑한 곤달비
    민자발전소는 우리나라 전기량 중의 극히 일부 입니다 민자발전소인 천연가스와 열병합 발전 전기량은 일반 원자력, 석탄 화력에 비하면 새발의 피 수준인데요? 좀 알고 합시다
  • @교활한 명자꽃
    무식한넘이 용감하다고
    민자발전 발전량이 발전공기업의 1/10도 안되지만
    이익은 발전공기업 전체보다 많다 ㅋㅋ
    알고나 말해라 ㅋㅋ
  • @가벼운 작약
    기저발전소인 석탄, 원자력이랑 피크 타임에 쓰는 천연가스, 열병합이랑 수익 구조가 같은 줄 아시나 보네
  • @교활한 명자꽃
    한수원이 한전에 공급 단가가 60원대고 민자는 160원대 입니다. 발전 공기업은 평균 수익률이 5프로 안쪽이고 민자는 10프로 넘어가고요. 민자 발전사 분기 순이익만 해도 몇천억 단위인데 한전 탓만은 아니죠.
  • @똑똑한 곤달비
    원자력이랑 천연가스가 단가가 같은 줄 아시는 분 여기 계시네
  • @교활한 명자꽃
    공기업이니까 수익률 삼프로로 버티는거지 민자발전으로 돌리면 민간자본이 삼프로로 만족 할것 같습니까?
  • @똑똑한 곤달비
    민자발전 비율은 기존 기저발전에 비하면 양이 적고 민자발전 위치도 거의 전력수요량이 많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배치 되어있는 데 이런 지역에 공기업 세우면 적자 규모 더 커지는 데 이건 생각 해봤나요?
  • @똑똑한 곤달비
    어짜피 천연가스랑 열병합은 단가가 드릅게 쌘데 그동안 국민부담이라고 올리지도 않았는 데
  • @교활한 명자꽃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

  • @가벼운 작약
    이보세요 민자발전소인 천연가스랑 열병합은 피크 타임에 쓰는 거지 석탄 원자력 같은 기저 발전 아닙니다
  • @교활한 명자꽃
    ㅋㅋㅋㅋㅋㅋㅋㅋ 열병합돌리면 전체 전기가격이 오른다 에휴 멍청한넘 전력가격은 동시간대 최고가격으로 입찰이 된다고
    도대체 부산대 어떻게 들어왔냐?

    http://www.ilbe.com/index.php?mid=ilbe&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B%AA%B0%EB%9D%BD&document_srl=3890361359

    일베글이라 안퍼올려고 했는데 읽어보고 말해
    너처럼 무식한애들을 위해 쉽게 써져있다
  • @가벼운 작약
    민자발전소 언제 가동하는 지 알고 좀 알고 말합시다 10배 주고 산다고 평상시에도 10배인줄 아는 데 민자발전소가 위치한 곳은 전력수요량이 상당히 많은 곳인 데 일반 기저발전으로 후달리니 민자 발전에 돈 더 줘서 사들이는 건 데 민자발전 대신에 공기업이 직접한다? 무슨 건설/유지비는 하늘에서 떨어지나요?
  • @교활한 명자꽃
    이보세요. 우리나라 전력거래 방식이 어떻게 이루어지나 알고 오세요. 발전소 용량으로 돈 주는 방식입니다. 그때그때 발전할때마다 사오는게 아니구요.
  • @똑똑한 곤달비
    그럼 원자력, 석탄 가격으로 천연가스 돌리면 누가 발전소 짓나요?
  • @교활한 명자꽃
    누가 천연가스도 석탄 단가 맞춰라고 했나요. 저렇게 단가 차이에다가 수익률에서도 이미 십프로나 차이나는데
  • @교활한 명자꽃
    그런 셈이겠죠? 잽잽이 보다는 라이트 훅이랄까..
  • 지식인분들이시군 ..
  • 기업은 돈벌려고 한다 => 제조업이면 원가를 낮추려한다 / 가격 탄력성에따라 최대 이익이 되는 지점까지 돈을 올린다

    => 쓰는 사람은 돈 더 많이 낸다


    아주 당연하고 간단명료한 건데,

    정치가 끼면 광신도들이 아주그냥 깽판을 치는걸 보니


    이건 뭐 완전 북한이네

     

    우리 수령님이 하고싶다는거에 대해서 뭐하나 안좋은거말하거나

     

    우리 수령님이 안좋아보이는 말하나 보이면 저렇게 달라드니

  • @해맑은 배초향
    그렇게 이론적으로 됬으면 이미 진작에 독점기업 횡포는 하루이틀 아니였습니다.
  • @교활한 명자꽃
    이게 무슨말인가요?

    이론적으로 됬으면 >>>독점기업의 횡포는 하루이틀이 아니다?

    자연독점 특성이 있는 산업은 제가말한 대로 하는 시장 지배적 위치에 쉽게 오르니
    독점을 한지가 하루이틀이 아니다?.. 이말인가요?

    아니면

    이론적으로 됬으면 자연독점 사업이라서
    당연히 경쟁이안되고 독점이 됬을거고 횡포가 심해지는데
    그런 산업부분에 대해서 정부운영 방식으로
    문제점을 줄여서 폐혜를 줄였다는건가요?

    무슨말인지 모르겠네요

    참고로 제가 말하는건 두번째에 해당합니다

    전체적인 필요량은 공기업 등 정부운영형태로 채우는게 맞고,

    약간씩 모자랐다가 안모자랐다가 하는거는

    약간 비싸도 조굼씩 발전하는걸 써도 되겠죠.

    물론 이 조금씩하는거에 터무미 없이 비싸게 부르면 그냥 자기가 짓는게 낫고요

    위에 누가 말한거처럼 전력 거래 체계가 문제면 그걸 바꿔야하는거고요

    어떤문제를 봐도 민영화를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없어요.

    그냥 또다른 문제를 하나 더만들고

    이전에 했던 문제를 또 반복하는 것일뿐.. 이라는게 제말이었습니다

    너무 길어서 안적었지만

    더여러가지상황에서도 문제해결에 민영화는 도움도 안되고 상관도 없는 일이에요
  • @해맑은 배초향
    공기업이 자선 봉사단체로 알고 계시는 데 기술이랑 자본이 부족할 때는 공기업이 필요하지만 지금은 충분한 인프라 갖춘 상태에서 공기업 운영은 정부 부담만 늘리는 데 공기업 적자는 꽁돈이라고 생각하시면 그건 큰문제네요. 독점기업 문제도 독점기업이 쉽게 가격 올린다고 생각하는 데 미국 반독점법 사례는 보셨는 지
  • @해맑은 배초향
    전력상황 놓고 봤을 때 일본 수준 가는 게 맞다고 생각하네요 미국 유럽과 같은 사정도 아닌데 그동안 국민 안정이라는 명목으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데 이건 조삼모사 꼴이나 마찬가지네요
  • @해맑은 배초향
    우리나라 전력기업 중에 유일하게 한전만 독점입니다 나머지는 공기업 제외한 기업들이 충분히 있는 상태에서
  • @교활한 명자꽃
    질문1

    일단 제글의 도대체 무엇을보고

    공기업이 봉사단체니, 적자가 공돈이니 하는 상상을 하신건지 적어주세요


    질문2
    적자있고 다른문제점도 있고 한거 맞습니다

    그런데 그냥 흐리멍텅하게 뭉틍그려서 말하고잇지

    정확히 "문제"가 뭔지 "원인"이 뭔지

    그렇게때뮨에 다른방법도 아닌 꼭 민영화를 해야만 해결되는건지에대해서 아무런 말이없네요

    그러니 민영화를 해야된다고 쥬장허고 싶우면

    위의 "문제"와 "원인"을 한번열거해보세요

    지금같은식이면 근거는없는데 그냥 주장만 하시니

    근거고 뭐고 아는것도 없눈데

    나는 그냥 그게 좋으니까 그거 해야한다고 떼쓰는걸로 밖에 안보이네요
  • @해맑은 배초향
    질문 1 기업은 돈벌려고 한다 => 제조업이면 원가를 낮추려한다 / 가격 탄력성에따라 최대 이익이 되는 지점까지 돈을 올린다 => 쓰는 사람은 돈 더 많이 낸다 //공기업은 무슨 기업이 아닌 줄 아시는 가 봅니다. 공기업의 적자=국민부담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건데, 애초에 공기업 설립 목적은 기존의 사기업이 할 수 없는 분야(적자 많이 나는 사업)에 정부가 직접 투자를 통해 기반을 갖추는 게 공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인프라가 제대로 갖춘 상황에서 계속 하면 적자 규모는 점점 커지지 않습니까? 지금 발전소 건설, 운영하는 기업이 한전 말곤 없는 줄 아시는 데 생각보다 많습니다 중소기업들도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랐고 충분한 경쟁 구조가 갖춰졌는 데 아직까지 국민 부담 줄인다는 미명으로 계속 운영하는 게 맞다고 생각안하네요
  • @해맑은 배초향
    질문 2는 1과 같이 이미 인프라가 갖춘 시점에서 공기업 무리한 운영은 곧 재정 부담으로 이어 집니다. 지금 상황에서 대기업 말고도 중소기업들도 충분한 발전 운영 능력 갖췄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전력기술의 설계능력과 한전 KPS의 정비 능력도 이미 사기업들도 충분한 수준으로 끌어 올려져 있고 님이 그렇게 걱정하시던 독점기업은 절대로 발생 안합니다. 많은 기업들을 육성해 보다 많은 국민들이 일할 수 있는 게 목표이지 않습니까? 발전관련 중소기업들도 상당한 수준입니다. 현재 까지 공기업 독점 체재로 운영하면 기업들이 쉽게 투자하고 경쟁하겠습니까? 공기업 눈치만 잘보면 될 일인데 미국 GE, 웨스팅하우스, 독일 지멘스, 이온 같은 기업 만들어야하는 게 제 생각이네요
  • @해맑은 배초향
    제가 생각하는 공기업은 기존 민간인들이 하기 어려운 사업에 직접 뛰어 들어 인프라를 갖추는 게 공기업의 목적이라고 생각하네요 복지는 아니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5361 남자가 비비 바르고 꾸미는거36 냉정한 꼭두서니 2015.03.04
165360 경제학부 미시경제학 월수15시 분반 교수님이 갑자기 바뀌어있네요36 난쟁이 앵초 2015.02.23
165359 약19).. 윗집 소리때문에 고민 ㅠㅠ36 꼴찌 새머루 2015.01.18
165358 부산대도 서울권 대학처럼 해야합니다.36 활달한 조팝나무 2015.01.06
165357 학점 4.3이상이면 불리?36 초연한 비름 2015.01.03
165356 도대체 도서관에서 사진을36 찬란한 강아지풀 2014.12.13
165355 정유사 망해가나요??36 과감한 솜나물 2014.12.12
전기 가스 공기업 민영화되면?36 무거운 족제비싸리 2014.09.20
165353 자기고향 자랑해주세요36 착실한 백화등 2014.08.28
165352 외국 락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36 한가한 부용 2014.07.25
165351 .36 귀여운 석잠풀 2014.07.24
165350 [레알피누] 제가 생각하는 남녀평등36 수줍은 분단나무 2014.06.20
165349 부산대 다닌다니깐 어르신들 보는눈이 달라지네요..36 난쟁이 며느리밑씻개 2014.05.28
165348 애니메이션 좋아하는 사람 많네요 ;;36 사랑스러운 소나무 2014.05.01
165347 요새 너무 숙연함을 강요하는 것 같습니다.36 무좀걸린 불두화 2014.04.26
165346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36 착한 이삭여뀌 2014.04.24
165345 도서관 말많은데 참..36 자상한 잔대 2014.04.17
165344 물리잘하시는 공대생님들 봐주세요36 엄격한 고들빼기 2014.03.29
165343 .36 특이한 호박 2014.02.26
165342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36 황송한 목련 2014.02.2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