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역학에서 상변화가 일어날때 압력이 일정하다는건 어디의 압력인가요..?

글쓴이2014.10.18 03:29조회 수 749댓글 8

    • 글자 크기
P-v 선도보면,

순수뮬질 상변화가 일오날때

압력이 일정하다고 나온걸 봤었습니다.

그땐 그런갑다햤는데

가만생각해보니

상변화가 일어나서 건도가 커질수록

기체가 많아지는데

압력이 일정하다는게 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귱금한것이

이렇게 상변화가 일오날때

어떤 주위 조건을 기준로 압력이 일정하다고 하는건가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열역학 안배우는 사람인데 상변화 일어나는 지점이면 녹/끓는점아닌가요? 끓는점이라면 액체와 기체가 양적 변화 없는 동적 평형, 상평형 상태아닌가용..
  • @힘좋은 개미취
    글쓴이글쓴이
    2014.10.18 08:15
    녹는점 끓는점 맞습니다 ㅠㅠ

    특히 제가 궁금한건 끓는 점이구요 ㅠㅠ

    제가 귱금한걸 좀더 설명해보자면

    대기압상태의 냄비에 물을 반만 넣고 뚜껑을 닫아두면

    액체상태물질은 대기압만큼 압력을 나타낼테고

    또 액체를 안뷰은 부피만큼은 증기압으로 그정도를 나타낼텐데...

    이상태에서 상변화온도로 올려서 상변화를 시적시키면

    일부가 증기로 변하기 시작하면서

    압력이 훨씬 높아져야하는게 아닌가해서요..ㅠㅠ
  • @글쓴이
    온도를 올려서 끓는점이 될때까지 온도는 오르고 증기압도 증가하니 그에 맞춰 (증발)하구여 끓는점에서 열을 넣어줘도 상변화에 필요한 열을 넘어설 때까지 (끓잖아용) 이때는 온도가 일정해서 증기압도 일정하다는 말 아닐까요? 거기서 열을 안주고 온도를 유지해버리면 냄비 안의 물의 양이 시간이 얼마나 지나든지 냄비 안에 그대로일거에요 그런데 열을 더 가해서 상변화 구간을 넘어서면 기체 자유에너지가 낮으므로 기체로 전부 변하겠죠(압력이 오르겠죠) 전공이 아니라서 표현이 좀 구리네요 ㅠㅜ
  • @글쓴이
    글고 냄비 안에 물담아 놓으면 대기압 아니에용 100도가 되어야 대기압이죵,, 상온에서는 그보다 낮은 압력이겠죵,,
  • @힘좋은 개미취
    글쓴이글쓴이
    2014.10.18 08:29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처음댓글보다가 뭔가떠올랐었는데

    이제 알거같습니다 ㅠㅜ
  • 끓는점의 정의가 외부압력(대기압)과 증기압이 같게되는 온도여서 일정한 압력(대기압)을 가져요.
    덧붙이면 만약에 일정부피라면 외부압력이 점점 커지니까 기체가 나올때마다 끓는점이 올라간다고 볼수있죠.
  • @처참한 비수리
    글쓴이글쓴이
    2014.10.18 08:25
    아아 감사합니다 ㅠㅠ

    가만생각해보니

    T-v선도에서 하나의 과정은 일정압력을 가정해서 한거였는데

    그걸 잊어버리고 있었네요 ㅠㅠ

    예를 들자면

    실린더안에 일정량의 물을 부어넣고

    물과 실린더사이에 간격이 없도록 실린더를 설치한다음에

    열울 가해주는것..

    이런것처럼요 ㅠㅠ

    이제 늙어서 정신이 오락가락하나봐요 ㅠㅠ
  • @글쓴이
    ㅋ ㅋ 아무튼 힘내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8103 클릭하면 고민상담하고 싶어지는 신기한 글 눈부신 수양버들 2012.02.17
168102 귀가 너무 얇아서 고민입니다. ♥ (부자 가는괴불주머니) 2012.03.01
168101 조토과 학생회장들.... 초연한 후박나무 2012.03.31
168100 기초수학 시험 문제 유형 끌려다니는 갓 2012.04.01
168099 화공과 선배님들!ㅠ 못생긴 당매자나무 2012.05.31
168098 현대인의 체력관리 양점홍교수님 푸짐한 향유 2012.06.09
168097 미학, 현대중극 수업관련 무거운 오동나무 2012.06.11
168096 수학과 미분방전식 시험범위 아시는분??? 어리석은 쑥 2012.06.17
168095 계절학기 수치해석 김광훈 교수님 들으시는 분.. 처절한 꽃치자 2012.06.22
168094 생명과학과 학우분들에게 질문 ㅋㅋ 즐거운 시계꽃 2012.06.29
168093 건강하고 밝은 성지식을 위해 성교육이 필요한 분들 신선한 아프리카봉선화 2012.07.02
168092 교수님께 건의할때 한가한 가시오갈피 2012.07.06
168091 부산대근처에 청아한 금낭화 2012.07.24
168090 아까 고민쓴 분께(엄마에 대해) 의연한 붉나무 2012.07.28
168089 상남 전복삼계탕 저녁에도 하나요? 촉박한 영산홍 2012.08.07
168088 이제 그만 침착한 머루 2012.08.18
168087 사회대 신목정에 계시는분있으신가요? 재수없는 미국쑥부쟁이 2012.09.08
168086 21세기와교양한자 금요일1시 수업 질문... 신선한 물레나물 2012.09.17
168085 국제경제학 시험범위 힘쎈 흰꿀풀 2012.10.10
168084 한국지역사의 이해 들어보신분??? 건방진 벼 2012.10.1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