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컵에 담아둔 물이 증발하는 이유?

난폭한 먹넌출2014.12.13 10:59조회 수 9239댓글 24

    • 글자 크기

일반적으로 배우길

고체 액체 기체의 상변화는

일정압력에서 특정온도를 기준으로 변화한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만큼 변화할 에너지룰 가졌울때요.

그런데 이번에 관련이 있는 공부를하다가

온도가 물의 증발온도인 100도가 안되눈데도

증발하는이야기가 나오더군요
(책에서는 증발된 수증기를 받은 공기의 온도가 낮아진다고합니다..)

제목에서 말한경우처럼요

이런경우는 어째서 증발을하는건가요?

    • 글자 크기
남자 몇살까지 모쏠이면 걱정해야하나요? (by 멋쟁이 참개별꽃) 중도에서 콧물 들이키시는분들 (by 유별난 왕솔나무)

댓글 달기

  • 증기압력이 포화될때까지 증발하는데
    잠긴병은 포화에도달하나
    열린병은 평형에 도달못하고 계속증발하는거라고

    알고있습니다
  • @착잡한 양지꽃
    글쓴이글쓴이
    2014.12.13 15:02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 수증기압을 맞추려구여 상온의 수증기압이 있을것 아니에욤 ㅎㅎ 100도(표준끓는점)일땐 수증기압이 1기압이구여
  • @개구쟁이 왕고들빼기
    글쓴이글쓴이
    2014.12.13 15:02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 끓는건 물 전체에서 기화가일어나는거구요 증발은 표면에서만 일어니납니다 자세한건 화학2 정도에서 확인할수있어요
  • @진실한 수선화
    글쓴이글쓴이
    2014.12.13 15:02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 상변화와 증발은 결국 같은 주제 안에 속하지만 약간 다른 얘기입니다.
    액체의 표면에서는, 외부 기체 분자가 충돌하여 액체 분자가 밖으로 튀어나가거나, 튕겨져 나갔던 액체 분자가 도로 액체 속으로 끌려 들어오는 현상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만약 액체를 병에 밀봉한다면 공기 중의 튕겨져 나간 액체 양이 점점 증가하여, 증발되는 양 = 끌려 들어오는 양이 되는 지점이 생기고 증발이 멈추게 되는데 이것을 동적 평형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액체가 충분히 넓은 공간에 노출되어 있다면 증발량은 계속해서 응결량을 초과하게 되고 결국 액체가 하나도 남지 않습니다.
  • @태연한 가는잎엄나무
    글쓴이글쓴이
    2014.12.13 15:02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 간단히 말하면 농도차이로 봐도 됩니다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면 쪼그라들죠? 배추 내의 수분이 소금물 농도를 줄이고자 (삼투압이죠) 빠져나갑니다

    공기 중 수분이 부족하니 물이 증발해서 대기중으로 가는 것이죠 . 비오는 날 빨래 잘 안마르죠?(대기중 수증기압 포화) 건조하고 바람 많이 불면 금방 마르죠?(대기중 수증기압 불포화) ㅎㅎ
    윗분들이 설명 잘해 놓았네요 ㅎㅎ
    자연계는 항상 평형(equilibrium)을 이루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ㅎㅎ
  • @애매한 백합
    글쓴이글쓴이
    2014.12.13 15:02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 나 고등학교 검정고시인데
    중학교 때 이런거 배웠던거 같아여 ㅋ
  • 이건 중고등학교에서도 배우는내용인데....
  • @돈많은 단풍취
    궁금하면 물어볼수도 있는건데...
  • 여기 모든 사람들이 지금 가장 큰 오류를 그냥 넘어가고있네
    증발온도가 아니고 끓는점이라고 하는겁니다
  • @게으른 잔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글쓴이는 증발과 끓음의 차이를 모르는건가
  • 뭔말인지 모르겠지만 이런거 설명하는 분들 멋있어요ㅋㅋ
  • @적나라한 남천
    중학교때 배우는건데요
  • 이거 중학교때 배우는건데...
  • 그냥 건조하면 공기 중에 물이 부족하잖아요. 공기 중에 물이 부족하니 컵에 있는 물을 뺏어서 공기에 보충하는 거예요.

    더 자세히 설명하면 방 안이 섭씨 25도면 25도에 해당하는 공기 중 물의 양이 있어요.

    공기 중에 그거보다 더 적게 물이 있으면 컵에 있는 물을 뺏고요, 더 많이 있으면 컵에 다시 물을 주는 원리예요.
  • 온갖 멋진 용어 쓸 거 없이 중학교식으로 설명해드림


    분자는 끊임없이 진동 혹은 운동함. 그 중에서 다른 분자와 충돌하는 등으로 액체의 결합E를 끊을 수 있는 에너지를 얻게될 수 있음. 그러면 날아감. 반대로 날아간 분자 중에서 E가 적어져서 다시 액체로 돌아오는 분자도 있음. 여기서 날아가면 증발, 액체로 돌아오면 액화임(중딩때 배우는 용어)


     증발속도와 액화속도가 같으면 평형을 이루어 겉으로 보기엔 증발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임. 하지만 미시적으론 끊임없이 증발과 액화가 일어나고 있는거임

  • 끓음이란 무엇이냐? 알다시피 열을 받으면 에너지가 증가함. 전체적으로 열을 받은 결과 E가 증가해서 기체로 날아가려고 부글부글거리는게 끓음임
    증발은 주로 액체 표면에서, 끓음은 주로 액체 전체적으로 격렬하게 일어나는 현상임

    증발은 당연히 상온에서도 일어나는 현상, 끓음은 끓는점에서 일어나는 현상

  • 어려운거 다 빼고 중학교에서 이정도로 가르쳐줌. 궁금증 해결?

  • 성지순례왔습니다
  • 증발온도 100도에서 웃고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6803 주택가 고양이 쫓는 법14 서운한 혹느릅나무 2018.05.10
166802 남자린넨셔츠 브랜드좀 알려주세요22 적나라한 화살나무 2013.06.16
166801 크롬사용하는데요 '시간이 너무 먼 과거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멘트가 뜨네요 왜이러죠?11 흐뭇한 무릇 2015.12.15
166800 국장 소득4분위면 보통 얼마정도 받나요??8 창백한 등골나물 2015.01.20
166799 2015년 CPA(공인회계사) 1차 합격자 순위17 무심한 꽃며느리밥풀 2015.03.16
166798 일부러 카톡확인 안하는 친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16 즐거운 삽주 2015.05.06
166797 장학금 사용계획서 뭐쓰죠..?11 괴로운 미국부용 2015.02.12
166796 배우신 분24 푸짐한 백화등 2018.07.13
166795 골좁녀 vs 어좁남17 침착한 정영엉겅퀴 2013.10.24
166794 ㅠㅠ자퇴하고 7급 준비했는데 드디어 합격했어요!!19 난감한 좁쌀풀 2017.09.16
166793 양예원 사건을 통해 알수있는것34 민망한 잔털제비꽃 2018.05.26
166792 방구때문에 미치겠어요16 고고한 왜당귀 2011.07.27
166791 시험칠때 양심은 지킵시다47 냉정한 금식나무 2016.04.21
166790 여자 취업사진 앞머리ㅠㅠ3 고고한 사피니아 2018.06.07
166789 클럽 갔다와서 귀에서 삐 소리가나요ㅜㅜ15 쌀쌀한 박태기나무 2016.07.09
166788 여러분 도자위 지원하세요~~53 깜찍한 톱풀 2016.03.15
166787 남자 몇살까지 모쏠이면 걱정해야하나요?26 멋쟁이 참개별꽃 2013.11.23
그냥 컵에 담아둔 물이 증발하는 이유?24 난폭한 먹넌출 2014.12.13
166785 중도에서 콧물 들이키시는분들37 유별난 왕솔나무 2015.10.04
166784 부산대 학번 281이면 무슨과임??7 깨끗한 금강아지풀 2015.12.15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