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기술영역

글쓴이2012.07.28 21:49조회 수 3036댓글 13

    • 글자 크기

전형적인 문과학생인데 ㅠㅠ

과학과 기술영역 뭐들으면 될지 추천 좀 해주세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과학영역 빼고 들어세요^^
  • 글쓴이글쓴이
    2012.7.28 21:56
    4영역 꼭하나 들어야 되는거 아닌가요?ㅠㅠ잘몰라서요..
  • 저는 개인적으로 지구과학쪽영역을 듣고자 해욤ㅋㅋ
    지구환경의 변화 나 지구와 자원 이런거 쉽고 재밌을것 같아요ㅋㅋ
    물론 추천은 아니고 ㅋㅋ 개인적인 생각일뿐!! 흥미있는걸로 들으시길!!
  • 456영역중에 2개들으면 될거예요
    정확한건 아랫님이
  • 글쓴이글쓴이
    2012.7.28 22:18
    마이피누에 글 첨올리는데 댓글다 달아주시고 완전 감사해요~~
  • 1~6영역중 5개이상 들으면 되요. 6영역은 필수고요.
    저는 스포츠쪽 안들을려고요.
  • @어설픈 과꽃
    글쓴이글쓴이
    2012.7.29 08:42
    네저도..스포츠쪽안들을려고욬ㅋㅋㅋㅋㅋ
  • 5. 교양과목 이수
    가. 교양과목은 1․2학년 때에 집중적으로 이수함을 원칙으로 한다.
    나. 교양필수과목은 6학점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 다만, 공과대학(건축학과 제외),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의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ㆍ바이오메디컬공학과ㆍ지역환경시스템공학과․조경학과는 의사소통 2학점을 면제하고 공학작문 및 발표 3학점을 이수하여 7학점을 취득하여야 한다.
    다. 교양선택과목은 24학점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 다만, 공과대학(건축학과 제외),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의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ㆍ바이오메디컬공학과ㆍ지역환경시스템공학과․조경학과는 18학점, 사범대학은 21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라. 교양선택은 6개 영역 중 최소 5개 영역에서 각각 1과목 이상을 이수하되, 교양선택 과목 중 핵심교양과목은 반드시 1과목(3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하며, 외국어 영역은 제2외국어 1과목 이상을 포함하여 2과목 이상 이수할 것을 권장한다.
    마. 학과(부)나 전공에 따라 제시된 교양이수모형을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바. 소속 학과(부)나 전공에서 개설한 교양선택과목은 이수할 수 없음을 원칙으로 한다.
    사. 교양선택과목을 기준 이상으로 이수한 경우에는 일반선택학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외국어영역의 영어관련 교과목을 제외한 제2외국어를 추가 이수한 경우에는 일반선택학점으로 인정한다.
    아. 제2외국어 관련 학과(중어중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노어노문학과, 독어교육과, 불어교육과)의 소속 학생이 소속 학과에서 개설되는 제2외국어 교과목을 이수하고자 할 경우, 해당 학과는 별도 분반을 편성하고 이수학점은 일반선택학점으로 인정한다.
    자. 제4영역(과학과 기술)중 컴퓨터 관련 교과목은 교양필수의 실용컴퓨터Ⅰ․Ⅱ를 이수한 학생의 경우에만 수강이 가능하며, 실용컴퓨터Ⅰ․Ⅱ와 비슷한 교과 내용의 과목은 수강할 수 없다.
    차. 계열교양은 각 단과대학의 학과(부)나 전공에서 정한 과목을 이수함을 원칙으로 한다.
  • @어설픈 과꽃
    글쓴이글쓴이
    2012.7.29 08:41
    우왓ㅋㅋㅋㅋㅋㅋㅋ감사드려욬ㅋㅋㅋㅋㅋㅋ
  • 수학의 세계 들으세요 재밌어요! 저도 문과생ㅋㅋㅋ
  • @천재 삼지구엽초
    글쓴이글쓴이
    2012.7.29 08:41
    진짜요???ㅎㅎㅎㅎ
  • 천연염료의세계
    걍염색하다가노는거에요시험도암기밖에안나옴~
  • 한수선 화14:30(75)
    목14:30(75) 602-202
    602-202 [일반교양] 인물로보는기술의역사 - 4영역 : 과학과기술

    정말 추천드려요~ 무엇무엇에 대해 아는 바를 서술하시오. 이런식으로 나와서
    문과학생들에게 훨씬 유리한 수업이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6728 지각 한번 해도 시험 잘치면 A+ 받을 수 있나요?ㅠ19 보통의 반하 2015.09.25
166727 .2 발냄새나는 게발선인장 2023.07.01
166726 밥약속 잡는 팁! 가르쳐주세요!22 납작한 먼나무 2012.08.10
166725 얼평하지 말라던 그 분들 근황.jpg21 외로운 마디풀 2018.11.10
166724 부산대 동문여러분, 자신감을 가집시다.54 어두운 영춘화 2014.09.26
166723 원룸 층간소음 미치겠네요 진짜15 운좋은 노린재나무 2018.03.17
166722 내 주변에 갑질 제일 잘하는 사람들16 부자 일본목련 2015.10.11
166721 남성분들 대체로 졸업, 취업 시 나이가 어느 정도 일까요?26 점잖은 마타리 2021.06.01
166720 7급 공무원 세무vs일반행정7 적나라한 사피니아 2017.01.24
166719 연평도 포격도발 6주기 입니다29 생생한 노루참나물 2016.11.23
166718 밤새고 시험쳐도 괜찮을까요ㅜ.?5 친숙한 노랑물봉선화 2015.06.15
166717 부산사람들이 서울말 진짜 싫어하던데..12 ♥ (부자 가는괴불주머니) 2012.03.15
166716 밀캠 모 학과 학생회비 20만원 고발합니다155 초라한 반송 2019.03.10
166715 셀카많이찍는남자들 심리22 외로운 흰꽃나도사프란 2014.03.25
166714 군대가는 친구들에게 고맙다는 말 한마디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27 도도한 진달래 2017.01.23
166713 이수역 사건이 일어난 이유80 똥마려운 고욤나무 2018.11.15
166712 7급 시험 공부하기에 하루 12시간 공부 적을가요?22 섹시한 화살나무 2016.10.26
166711 네버랜드 103동? 좀전에 밖으로 침뱉으신분27 느린 가지복수초 2018.07.24
166710 늦은 나이에 수능.. 현실적인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36 한가한 다릅나무 2018.06.02
166709 2017 공무원 "지방직"도 컴활 가산점 폐지인가요? 애매한 느릅나무 2016.09.06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