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事不再理原則

글쓴이2012.07.28 22:06조회 수 953댓글 6

    • 글자 크기

정의

일단 처리된 사건은 다시 다루지 않는다는 법의 일반원칙.

내용

「형사소송법」상으로는 어떤 사건에 대하여 유죄 또는 무죄의 실체적 판결 또는 면소(免訴)의 판결이 확정되었을 경우, 판결의 기판력(旣判力:판결의 구속력)의 효과로서 동일사건에 대하여 두 번 다시 공소의 제기를 허용하지 않는 원칙을 말한다. 「헌법」은 “동일한 범죄에 대하여 거듭 처벌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여 이 원칙을 명문화하고 있다.

따라서 다시 공소가 제기되었을 때에는 실체적 소송조건의 흠결을 이유로 면소의 판결이 선고된다. 즉, 일사부재리원칙은 판결로써 확정된 범죄는 다시 처벌할 수 없고, 본인의 이익을 위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행위를 재심사하는 것까지 금하는 것으로, 개인의 인권옹호와 법적 안정의 유지를 위해 수립된 형사법상 원칙이다. 이 원칙의 효과가 미치는 범위는 사건과 동일의 관계에 있는 한, 그 전부에 걸친다.

사건의 일부가 공소장에 기재되고, 그것에 대하여 재판이 행하여질 때에도 일사부재리의 효과는 그 처분상의 한 죄의 전부에 미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민사소송법」상으로는 확정판결에 일사부재리의 효과는 없다.

다만, 소송요건이 결여되면 재소는 각하된다. 따라서, 「민사소송법」상의 기판력의 효과는 뒤의 소송에 있어서 법원이 앞서 한 판결과 다른 판결을 할 수 없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민사소송법」에 있어서도 일사부재리를 인정할 수 있다는 새로운 소송물이론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회의체의 의사과정에 있어서 그 회기중에 부결된 의안은 그 회기중에는 다시 제출하지 못하는 것을 일사부재의원칙(一事不再議原則)이라고 한다.

이는 회의체의 의결이 있는 이상 그 회의체의 의사는 이미 확정되었기 때문에 다시 논할 필요가 없다는 데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아울러 의사진행의 원활화와 소수파의 의사방해의 배제에 목적이 있다. 국회의 일사부재리에 관하여는 「국회법」에 규정되어 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똑똑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사랑학개론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6 나약한 달뿌리풀 2013.03.04
58703 힘들어요8 짜릿한 가시오갈피 2019.01.02
58702 힘들어요4 잉여 미국부용 2017.07.06
58701 힘들어요4 고상한 개곽향 2015.05.25
58700 힘들어..5 유쾌한 대왕참나무 2015.07.25
58699 힘들어 하는 여자친구를 보면서...2 때리고싶은 호밀 2016.09.11
58698 힘들어 도와줘15 사랑스러운 나도풍란 2019.04.28
58697 힘들어11 괴로운 까치고들빼기 2014.10.10
58696 힘들땐 어떻해요..11 천재 실유카 2015.07.11
58695 힘들때마다 생각나는 전남자친구8 의연한 매화노루발 2016.12.07
58694 힘들때 도움이 못되는게 괴롭네요4 밝은 우산이끼 2016.12.04
58693 힘들때12 청아한 개쇠스랑개비 2016.05.01
58692 힘들때1 코피나는 비비추 2016.09.18
58691 힘들당3 처절한 아그배나무 2014.12.12
58690 힘들달1 현명한 오죽 2019.07.28
58689 힘들다는걸 내색하지 않는게 더 힘들다.1 바쁜 베고니아 2015.06.11
58688 힘들다ㅎㅎ3 세련된 백당나무 2015.11.21
58687 힘들다..5 사랑스러운 루드베키아 2016.08.06
58686 힘들다3 초라한 더덕 2015.08.19
58685 힘들다2 착실한 뻐꾹채 2015.10.11
58684 힘들다1 바보 조팝나무 2016.07.1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