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과분들 질문입니다

까다로운 자금우2015.07.08 17:45조회 수 1298댓글 13

    • 글자 크기
경제 교양수업을 듣고있는 공대생인데요
교수님께서 대처 수상이나 레이건 대통령이
부자감세를 통해서 경제위기(?)를 탈출했다고
하던데.... 부자감세하면 나머지 세수확보는 결국
서민들이 하는것 아닌가요?
70%대의 세율을 40%대로 낮췄다고하던데
이게 왜 경제위기를 탈출하는 수단이되는지
궁금합니다

경제공부는 중학교 이후로 처음이라
아주아주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ㅜㅜ
    • 글자 크기
경제학과분들 질문있습니다 (by 도도한 박하) 경제학과분들 부전공 뭐하시나요? (by 살벌한 헛개나무)

댓글 달기

  • 간단히 세출을 줄이면 되죠
  • 일단 레이거노믹스는 사상 유례없는 쌍둥이적자로 실패로 문닫았습니다. 이론적인 배경은 래퍼곡선 검색해보면 바로아시게될겁니다. 세율이오를수럭 역외탈세를 하는이들이 증가해서 실질적인 세수는 줄어든다가 핵심입니다. 근데 실패함.
  • 레무룩
  • 부자 혹은 고수익자들의 소득을 보장해주어서 경제적인 활동을 할 유인을 만들어주는거죠. 경제상황이 안좋은데 돈은 많고 그런데 세금 깍아주면 경제활동을 더 활발하게 할테니까요
  • 레이건이고뭐고 암거도모르는데
    세율이높아서 기업이 경제활동할 유인이 낮아서 경제위기가 찾아왔던게 아닐까요??
  • 위에분보니 비슷하게 접근한거같네요ㅎㅎ
  • 레이거노믹스는 공급중시경제학으로 실패한 이론입니다
  • 레이거노믹스는 위에 말씀하신 것처럼 대표적으로 실패한 경제정책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을 극복하는 과정에 실시된 레이거노믹스는 군사비를 제외한 정부지출을 줄이고 기업 감세 정책 및 규제완화 정책들을 실시했습니다. 과도한 군사비 지출로 인해 재정적자가 증가하는 등의 미국의 쌍둥이적자가 발생하였고 기업들이 감세를 통해 투자를 증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금유출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대처리즘 역시 공급 중심의 경제정책을 실시하여 기업 세금을 감면하는 등의 일련의 정책을 실시했죠. 이에 대해서 그로 인해 경제위기 상황에 놓여있던 영국의 위기를 타개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그 과정에서 노동자에 대한 과도한 강경진압을 하게 되고 영국 내 제조업의 입지를 좁아지게 하는 등의 일련의 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가 우세적입니다. 영국의 양극화 심화 현상을 이야기 하면 꼭 나오는게 대처수상인데...
    무슨 수업입니까?
  • @아픈 왕원추리
    윗분들 말씀하신거 들어보니 제가 잘못들었던거같아요
    교수님께서도 레이건과 대처에 관한 평은 사람마다
    다르다고 하셨고 경제위기를 탈출한게 아니라
    경제위기를 타개하기위해 실시한 방법을 설명해주셨던거 같네요
    덕분에 많이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다들 감사해요
    경제학과분들 친절하시고 멋있네요
  • 이거 교수님이 래퍼곡선 말씀 안하시던가요?
    Y축은 세금수입, X축은 세율로 두고 역U자 모양인데 (그러니까 둥그런 동산모양...)
    요는 일정한도를 넘어간 높은 세율은 오히려 적은 세수를 걷게 된다는 겁니다.
    당시 레이건과 래퍼는 미국 세율이 적정 수준을 넘었다고 여겼고
    이 래퍼곡선을 바탕으로 공급중시경제학, 즉 레이거노믹스로 부자감세를 펼쳤습니다.
    근데 그게 현실에 바로 나타나진 않았죠... 결국 레이거노믹스는 실패했다고 여겨집니다.

    그런데 사실 레이건 때에는 경제가 침체됐었지만 레이건 이후로 미국 경제가 살아난 것이
    레이거노믹스의 효과가 시차를 두고 나타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습니다... (일부주장)

    아무튼 레이거노믹스는 대체로 실패한 정책으로 봅니다.
    보통 설명할때 래퍼곡선을 같이 들어서 설명하시는데, 안 그러셨나보네요.
  • @수줍은 백목련
    저희 교앙수업이라서.. 엄청기본적인것만 배워요ㅋㅋ
  • @글쓴이
    아 글쿤요 ㅋㅋ 가볍게 들어넘기시면 될거같습니다.
    어차피 레이거노믹스는 주류 경제학도 아니라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38582 경제학과와 무역학과의 거시경제학 수업5 싸늘한 초피나무 2014.07.20
38581 경제학과에 편입3 어리석은 백정화 2015.01.22
38580 경제학과에 꼭 피해야할 교수님 있을까요 ㅠㅠ?8 때리고싶은 큰꽃으아리 2016.08.05
38579 경제학과에 개설된 전략과 정보 경제학6 날렵한 큰앵초 2014.08.01
38578 경제학과수업 사회경제사상사들으셨던분~!11 흔한 비름 2014.07.12
38577 경제학과수업3 참혹한 애기나리 2018.08.03
38576 경제학과생이 행정통계론 가능?? 가벼운 술패랭이꽃 2014.01.28
38575 경제학과사무실 국제관 몇층인가요?2 초조한 참개별꽃 2015.06.29
38574 경제학과분들에게 질문3 육중한 겹황매화 2018.08.01
38573 경제학과분들께 질문있어요1 청아한 더위지기 2015.09.01
38572 경제학과분들 질문있습니다5 도도한 박하 2017.11.12
경제학과분들 질문입니다13 까다로운 자금우 2015.07.08
38570 경제학과분들 부전공 뭐하시나요?4 살벌한 헛개나무 2014.02.02
38569 경제학과분들 경제학원론 질문 드립니다4 초조한 만수국 2017.02.03
38568 경제학과분들 경제수학 없어졌나요??5 부지런한 엉겅퀴 2017.02.05
38567 경제학과분께 질문.3 착실한 장구채 2014.02.10
38566 경제학과로 전과하려는데 질문합니다.6 난감한 토끼풀 2013.07.11
38565 경제학과는 증원3 부지런한 뽕나무 2015.08.12
38564 경제학과는 전공기초 부전공학점으로 인정안되나요??5 답답한 개연꽃 2018.02.03
38563 경제학과는 왜 7영역 못듣나요?!7 배고픈 끈끈이주걱 2017.08.1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