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성공하기 위한 요건 ?

빠른 가시오갈피2012.09.10 13:05조회 수 764댓글 9

    • 글자 크기

학벌 22.4%

외모 21.9%

경제적 뒷바침 19.8%

대인관계능력 12.5%

 

그외 기타.

 

이렇다는데 님들 생각은 어때요

 

근데 성공의 기준이 뭐지 ..

    • 글자 크기
부산대 수시 경쟁률 7.49대 1 대폭 상승 (by 초라한 참골무꽃) 인문대 효학정 계신 분이나 아시는 분??? (by 창백한 현호색)

댓글 달기

  • 자신이 하고싶은,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가지고
    가족을 부양할수있는 경제적 능력을 가진다면 성공했다고 볼수있지 않을까요?
  • 안타까운일이지만 일개개인이 할수있는 노력도 한계가 있습니다. 저번에 글에서 봤는데 사람이 취직해서 대략 60세까지 일한다고 했을때 벌수있는게 20억정도이던데, 대다수가 경우 이만큼 못번다고 봅니다.
    근데 수십억에 수백대의 자산가의 집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태생부터가 다른거죠.
    저희 부모님가게하시는 건물주인이 아버지한테 건물물려받는 사람인데 나이가 30대 초반밖에 안됬는데 수십개의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결론은 좋은집에서 태어나면 장땡
  • @청아한 홍단풍

    저는 학우님과 약간 의견이 다릅니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개개인으로서 노력해도 한계가 있는건 맞습니다. 하지만 예외가 없지만은 않아요.
    현 대통령인 이명박 대통령도 찢어지게 가난한 판자촌에서 자라 국내 굴지의 대기업 사장이 되었고, 서울시장이 되었고, 지금은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강용석 전 의원도 아버지가 전과자에 수감중인 상황에서 대학교 학비를 벌기위해 장학퀴즈에 나가 우승해서 학비를 조달하기도 했습니다. 그 노력의 결과로 서울대 법대에 입학했고 하버드 법대까지 졸업했지요.

     


    물론 학우님 말씀처럼 반대의 경우도 많지요. 부모가 권력이 있고 돈이 있어 멀쩡한 몸으로 군대 면제받기도 하고 편하게 돈벌어서 외국학교 졸업해 좋은 직장 얻는 사람도 있습니다. 부모빽으로 전과가 불가능한 서울대 법대로 전과하는 사람도 있더군요.
    어찌보면 인생은 참 불공평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걸 포기할만큼 앞날이 꽉 막혀있는건 아닙니다. 긍정적인 경우를 더 크게 보시고 노력한다면 출발선상에서 뒤쳐졌더라도 얼마든지 따라잡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해맑은 이질풀
    노력하는건 값지지만 그당시는 발전하는 시대였으며 당시에는 개천에서 용날수 있는 여건이 되었죠. 학교공부만 열심히 하면 좋은대학가서 성공할수있었지만, 지금은 공교육도 거의 붕괴되기 직전이고 다 학원에서 배우는 시스템으로 되서 돈없는 사람이 좋은대학가는경우는 거의 드물죠. 대학와서도 마찬가지로 어려운형편에서 공부해서 좋은대학갔어도 남들은 어학연수다 학원이다 다닌다고 바쁠때 자기는 학비버는데 다 시간보내죠. 지금은 과거랑은 달리 태어날때부터의 차이가 평생을 따라가는 사회입니다
  • 성공의 기준은 다 다르죠
  • 퍼샌트로 따지긴 힘들거같네요 ㅎㅎㅎ
  • 우리나라는 돈많이벌면 성공성공성공성공이래요
  • 그냥 돈 많으면 장땡
  • 깊게 생각할거 뭐 있나. 한가지만 있으면 돼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똑똑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사랑학개론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6 나약한 달뿌리풀 2013.03.04
83 서울대 미달.. 충격적..8 외로운 수리취 2012.09.12
82 부산대 수시 경쟁률 7.49대 1 대폭 상승28 초라한 참골무꽃 2012.09.11
대한민국에서 성공하기 위한 요건 ?9 빠른 가시오갈피 2012.09.10
80 인문대 효학정 계신 분이나 아시는 분???1 창백한 현호색 2012.09.09
79 학생지원시스템 안들어가져요??6 뛰어난 쑥갓 2012.09.08
78 카톡하면서 이런 경험들.18 육중한 은방울꽃 2012.09.08
77 부산대가 그렇게 좋으세요??46 게으른 물박달나무 2012.09.07
76 학교에 토론하는 장이 많아 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3 재미있는 바랭이 2012.09.06
75 자게에 직선제 폐지하는거 까는 총학글보고 느낀점14 재미있는 바랭이 2012.09.06
74 무리한 학과 확장도 학교 순위 떨어지는 데 한몫한듯.4 냉정한 산국 2012.09.06
73 .27 부지런한 쉬땅나무 2012.09.06
72 CPA 부분합격 ㅜㅜ33 활동적인 솔나물 2012.09.05
71 .12 불쌍한 떡신갈나무 2012.09.05
70 자기 얼굴에 침 뱉는 사람들이 왜 이렇게 많은거죠?13 도도한 철쭉 2012.09.05
69 글읽으니 타과 공격하시는 분들이 많네요26 의젓한 가지 2012.09.05
68 기숙사..6 싸늘한 뻐꾹채 2012.09.05
67 먼가 웃기네요48 고상한 계뇨 2012.09.05
66 부산대 생활원생 게시판에 올라온 글4 배고픈 헛개나무 2012.09.03
65 기숙사 원생회는 진짜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15 무례한 비파나무 2012.09.02
64 인풋이고 아웃풋이고 고시결과고 따지는 사람들한테 하고 싶은 말17 꾸준한 댑싸리 2012.09.0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