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경제학 질문입니다

쌀쌀한 고로쇠나무2015.07.11 16:20조회 수 1054댓글 17

    • 글자 크기

1.저축증가 -> 투자증가 -> 자본스톡 증가 -> 경제성장 -> 소비증가 -> 저축증가



2. 저축증가 -> 소비감소 -> 생산량 감소 -> 소득감소-> 소비(증가? 감소?) -> 저축(증가? 감소?)



우선 첫번째 질문은 저축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이 1번과 2번의 경우는 정반대인거 같은데 


어떤게 맞는건가요? 둘다 맞는건가요?



두번째 질문은 2번 에서 소득이 감소하면 소비가 감소하고 저축이 감소하게 되는게 맞나요


제가 필기해놓은거는 소비는 증가하고 저축은 감소한다고 되었어서 잘못 필기했나 싶어가지고요..



부탁드립니다  




    • 글자 크기
간단하게 운동하고 있는데..팁 좀 주세요! (by 멍한 마) 간단한 계산문제입니다 굽신굽신 (by 사랑스러운 푸크시아)

댓글 달기

  • 2번이랑 비슷한게 절약의 역설??아닌가요??? 교양수업때 배웠는데....ㅋㅋㅋ(그냥 어설픈 지식입니다)
  • 둘다 맞는 말입니다.
    두번째 질문에서 소득이 감소하면 소비와 저축 모두 감소합니다. 윗분께서 말씀하신것도 맞구요.

    다만 현재의 경제상황이 어떤가에 의해 두 상반된 효과의 크기가 달라질 수있겠습니다. 경기가 호황이라면 소득증가로 저축 소비 모두 증가한 상태라면 1번의 효과가 더 크다고 보이지만 경기침체시에는 케인즈가 말하는 절약의 역설에 해당하는 효과가 더 커서 침체에서 회복하는데 더 어려움을 겪을 수있습니다.
  • 1. 고전학파의 관점인것 같습니다. 고전학파는 저축을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봤거든요ㅎㅎ

    2. 케인즈학파의 관점인것 같습니다. 케인즈의 소비함수에 의하면 저축=가처분소득-소비(Yd=C+S)입니다. 그리고 C=C0+c×Yd(c=한계소비성향) 따라서 소득이 감소하면 소비가 감소하고 저축은 늘어나겟죠

    밑에껀 그냥 참고만 하세요^^

    사실상 투자와 저축 이 두 변수는 이자율의 변화에 따라 정반대로 움직입니다(다른 외생변수는 일정하다는 가정하에...)일반적으로 이자율이 상승하면 저축이 증가하고, 투자는 감소합니다. 그래서 gdp는 하락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총생산함수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거시경제학에서는 단기에서는 케인즈관점, 장기에서는 고전학파의 관점을 취하고 있습니다

    부족한 지식이지만 도움되셧으면 조켓습니다ㅠㅠ
  • @억쎈 삼지구엽초
    2번에 해당하는 답변, 소득이 감소하면 둘다 감소해야하지않나요? 제가혹시나 글쓴이님께 잘못답변해드린건 아닌지...
  • @활달한 밀
    2번이 케인즈학파 관점이라서 케인즈는 가처분소득=소비+저축으로 봣기때문에 반대로 움직인다고 보는게 일반적일거에요아마도..(저도 제 지식을 신뢰하지는 못해서ㅠㅠ..)
  • @억쎈 삼지구엽초
    그거는 소득이 일정하다는 가정하에서 저축이 늘거나 줄면 서로 반대 관계로 작용하는 얘기인거같아요
    소득이 감소했을 때는 둘다 감소하는게 맞는거같네요 ㅋㅋ
  • 글쎄요 기본적으로 저축이 소득의 증가함수이고 투자가 이자율의 감소함수라고 한다면 IS-LM모형에서 저축의 증가는 IS곡선을 좌측이동시키면서 총소득을 감소시킵니다. 대부시장모형에서 저축의 증가는 대부시장의 공급을 증가시켜 이자율을 하락시킵니다. 따라서 투자가 증가합니다. 정부지출이 고정이라고 보았을때 총소득의 변수은 소비+투자인데 총소득 감소 =투자 증가 + 소비의 큰감소 가 되어야 등식이 성립되겠죠? 결론을 내면 저축의 증가 투자증가 소비감소 총소득감소로 절약의 역설이 발생하고 질문하신분의 상황이 성립하게 됩니다.
  • 아마 반대로 적으신거같네요 ㅠ
  • @현명한 돌콩
    어떤걸 반대로 적었다는 거에요??ㅜㅜ
  • @글쓴이
    소비는 감소하고 저축은 증가해요
  • @현명한 돌콩
    삼지구엽초님 답변이랑 같이 생각해보면 이렇게 설명하면 문제가 있지않나요?
    IS-LM이 케인즈학파의 관점에서 총수요를 도출하는 과정이고 대부자금시장라는 것 자체는 고전학파에서
    이자율이 결정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구요. 그렇게 고려한다면 단기적으로는
    저축이 증가하면 소비가 감소하는 것에의해 총산출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대부자금의 충분한 공급이 이자율 하락을 일으켜 투자를 증가시켜 다시 총수요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가지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즉 두가지 효과를 동시간대에 비교가 가능하지않다는 생각이드네요.
  • ㅠㅠ뭐가맞는건가요 흑흑 경제는 참 어렵네요
  • 이거 아마 승수효과랑 연계해서 보는거 같은데...
    거시경제학인가요? 무슨 과목이죠
  • @처참한 겨우살이
    그냥 교양과목이에요...ㅋㅋ
    엄~청 단순하게 생각하시면돼요
  • 이때까지 댓글달아주신 분들 꺼를 정리해서 제 의견을 종합해서 말씀드리자면 ,
    저축증가의 두가지 경로 모두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1번에서 소비증가 다음 저축증가가 아니라 경제성장으로 인해 소득이 증가해 두개가 동시에 이뤄진다고 보는 게 더 맞구요
    2번에서는 소득감소가 소비와 저축 모두를 감소시킨다고 봐야겠죠.
    (둘다 케인즈의 가처분 소득 Y=C+S, C=a+bY , S=c+dY라고 봤을 때 입니다.)

    다만 이 효과들이 시점을 나누어 보았을 때는 단기에는 2번의 효과가 우선적이고, 장기적으로는 1번의 효과도 같이 나타난다고 보는 것이 맞는것 같습니다. 실제로 댓글상에도 있지만 1번의 내용은 고전학파의 내용이고 2번이 케인즈적인 시각이거든요,

    그래서 어떤 시점에 저축이 증가했을 때의 효과가 어떠할까는 그 때의 경제상황과 한 나라의 특수성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어서 똑 부러지게 말할 수 없는 부분인거 같네요 .
  • @활달한 밀
    오오 감사해요 이 댓글 보고나니까 교수님께서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하셨던게 생각났어요
    2번은 제가 필기를 잘못한 모양이에요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수업시간에 많이졸아가지고...ㅜㅜㅜㅜ
  • 다들 멋있다 뭔가...ㅋㅋ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34760 각질제거제 뭐쓰시나요4 친근한 꽃치자 2014.03.06
134759 각질제거제 추천좀 해주세요....5 뚱뚱한 벚나무 2016.03.01
134758 각혈인지 코핀지(흡연자분들 질문좀요)40 머리좋은 돼지풀 2016.08.20
134757 간검사 할 수 있는 곳3 눈부신 노각나무 2017.03.27
134756 간단질문..부산대역 버스정류장 쪽 정글같은 옷집큰곳 끔찍한 고들빼기 2016.03.02
134755 간단질문ㅋ 일이 음의값이나올수없죠?11 깨끗한 개망초 2013.05.26
134754 간단하게 1박2일로 다녀올때 ㅊㅊ좀13 화려한 개불알풀 2016.02.29
134753 간단하게 국내여행 1.2 골라주세요!12 친근한 콜레우스 2018.02.08
134752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추천 해주세요 :)16 추운 잣나무 2019.03.19
134751 간단하게 미노씬이랑 디페린 처방받을곳 피부과나 병원, 의원 없을까요?2 보통의 구상나무 2017.11.02
134750 간단하게 심리상담 해주실분ㅠ8 청아한 흰꽃나도사프란 2019.08.07
134749 간단하게 알아보는 아재등급27 해박한 민들레 2019.02.23
134748 간단하게 운동하고 있는데..팁 좀 주세요!6 멍한 마 2015.01.25
간단한 경제학 질문입니다17 쌀쌀한 고로쇠나무 2015.07.11
134746 간단한 계산문제입니다 굽신굽신11 사랑스러운 푸크시아 2013.05.12
134745 간단한 계산질문인데요 ㅠㅠ8 태연한 천일홍 2015.04.25
134744 간단한 동역학 질문... 귀여운 관음죽 2013.05.12
134743 간단한 문서 영어-->한글 번역작업 친숙한 강아지풀 2016.05.04
134742 간단한 문제 하나 풀어주시겠어요?8 바보 참나리 2014.11.07
134741 간단한 빵이나 제과 선물4 과감한 노랑어리연꽃 2016.11.29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