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무지개의 색을 가지고

부대신문*2011.09.28 14:56조회 수 1474댓글 0

    • 글자 크기
    

  ‘지역 인문학, 무지개로 채색하다’
  우리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이하 한문연)에서 개최한 인문주간 행사의 주제다. 이 행사는 ‘열림과 소통의 인문학’이라는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색깔을 가진 사람들과 다양한 시민들이 함께 하는 행사일뿐 아니라 모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메시지를 담고자 했다.


  이 주제의 일환으로 지난 24일 ‘지역사와 길(동래문화유적 탐방길)’이 열렸다. 이 행사는 우리 고장의 역사적, 문화적 숨결이 담겨있는 길의 의미를 찾음과 동시에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이 함께 참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한문연 김동철(사학) 소장은 “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색을 가졌다는 것을 알고 함께 걷는다는 것이 중요하다”며 “책상에 앉아 연구하는 인문학이 아니라 직접 나가고 만나보는 시도를 위한 인문학이 되는 것이 행사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실제 이 행사는 나사함발달장애인복지관의 학생들과 자원봉사를 지원한 대학생·시민들이 둘씩 짝을 지어 손을 잡고 이동하며 함께하는 시간으로 이뤄졌다.


  ‘지역사와 길(동래문화유적 탐방길)’에서 참가자들이 걸었던 동래읍성과 복천박물관 일대는 부산이라는 지역을 이해하는 데 있어 역사적 의미를 가진다. 동래읍성은 임진왜란의 첫 격전지고 복천박물관의 복천동고분군은 삼한시기의 향토문화 변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유물들이 많이 출토돼 역사 속 부산의 모습을 알 수 있다. 한문연 오미일 HK교수는 “외세침략 후 조선시대 원도심 역할을 하던 동래는 예전의 문화와 역사가 살아있는 전통이 있는 곳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잊고 지낸다”며 “소통이 어려운 장애인과 청소년에게 이 길을 걷는 주체로 거듭나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무지개로 채색한다는 의미처럼 이 행사에는 다양한 이들이 참여 해 함께 길을 걸었다. 조주현(특수교육 2) 씨는 “예전부터 장애인과 함께 하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 참여했다”고 말했다. 장애인과 함께 하는 시간을 반기는 이들도 많았다. 하문웅(수영동 69) 씨는 “평소 부산 여러 곳에서 길을 따라 걷는 행사에 참여했지만 장애인과 함께 하는 것은 처음이다”며 “장애인들과 직접 만나는 시간이 그들을 이해하고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아 행사에 참여했다”고 전했다. 박지연(브니엘여고 2) 씨는 “장애인들에게 가졌던 편견을 덜어낸 시간이 된 것 같다”며 “우리와 별 차이가 없는 이들과 같이 살아가고 있다는 중요성을 생각했다”고 밝혔다.


  한편 한문연은 ‘지역사와 길(동래문화유적 탐방길)’외에도 지역 속 다양한 색깔을 가진 주체와 주제를 조명한다는 내용으로 돌산마을 노인들이 직접 사진을 찍고 전시회를 개최한 ‘할머니, 사진, 그리고 이야기’, 청소년들의 문화체험 확대를 위한 ‘몸으로 풀어내는 부산 이야기’ 등을 연 바 있다.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630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허용범위 넘어선 간판들 통제할 수 있을까? 부대신문* 2016.07.11
부대신문 행복한 진로설계 부대신문* 2015.09.29
부대신문 행복한 경제는 가능한가? 부대신문* 2013.07.26
부대신문 행복한 경제’를 실천하는 사람들,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부대신문* 2013.07.26
부대신문 행동하는 성소수자가 나라를 바꾼다 부대신문* 2017.06.06
부대방송국 해피투게더 1화 부산대방송국 2013.11.11
부대신문 해체가 목표인 여행사, '우리는 발전적해체를 꿈꾼다' 부대신문* 2013.09.03
부대신문 해외 영화제와 비교… 예산액은 비슷, 자봉 복지는 달라 부대신문* 2011.12.07
부대신문 해외 도전과 체험을 마치고 부대신문* 2014.06.12
부대신문 해설이 있는 영화제에서 어린 이반의 삶을 보다 부대신문* 2017.01.08
부대신문 해녀촌-서구청 법정 공방에 들어서다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함께하는 삶과 행복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함께 사는 법을 배우는 곳, 기계관 ‘Cafe M’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한해 자살자 1,000명, 손 놓고 있는 부산시 부대신문* 2016.02.14
부대신문 한진중공업 사태는 관심이 필요해요 부대신문* 2011.10.12
부대신문 한의학과 황태호 교수팀, 암 치료법 연구 새 지평 열었다 부대신문* 2013.07.06
부대신문 한물간 악사들의 한 발 앞선 꿈 여행기 부대신문* 2015.01.13
부대신문 한대(漢代)의 효렴(孝廉)제도 부대신문* 2014.04.09
부대신문 한국형 애플이 없다, 왜? 부대신문* 2012.05.03
부대신문 한국정치의 비전 부대신문* 2013.11.0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