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한국문학의 큰 산 金東里 선생

부대신문*2013.12.05 16:32조회 수 531댓글 0

    • 글자 크기
     한국문학의 큰 산, 거목(巨木)으로 문학의 정기(精氣)를 뿌리던 김동리(金東里, 1913-1995)선생. 올해로 탄생 1백주년을 맞이했다. 그는 우리 근대소설사에 있어 시금석의 의미를 지닐 만큼 한국문학에 끼친 영향이 실로 크다. 그는 자신의 문학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 평생을 그 누구보다 치열하게 노력했던 작가이며, 전통적이고 지방적인 소재에서 신(神)과 인간 자연의 문제를 완벽한 소설미학으로 승화시켜 한국소설의 결정체를 이루었다.그의 문학적 특질은 인간의 원형 즉 인간의 본질과 인간성 옹호에 있고 생명에 바탕을 두었다. 민족문학이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3360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교수회·대학평의원회 “금샘로 개통 철회하라”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20년 방황한 금샘론 그 끝은 어디] 금샘로 놓인 우리 학교, 미래 모습은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그땐 그랬지 부대신문* 2014.10.30
부대신문 환경보전을 앞세워 정치 단체화한 이들(환경단체)은 정치투쟁으로 명분과 실리를 얻으려는 속셈이었고 이익을 거두었다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PNU 이름값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법이 만든 사각지대 장애인 최저임금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풀릴 리가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예술강사 '지원'은 어디가고 '착취'만 남았나] ③지속가능한 문화예술 교육을 위해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우리나라 지폐는 ㅁ(으)로 만들어졌다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레디, 액션 부대신문* 2014.10.30
부대신문 "그 끌려간 여자들도 원래 다 끼가 있으니까 따라다닌 거야"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부산대학교병원 ‘전공의 폭행’교수, 결국 파면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정문·북문, 보행자와 차량 뒤섞여 ‘위험천만’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사필귀정의 시대 교훈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효원> 전 편집장의 잘못 드러났다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청년 수당, 청년 위한 청사진 그려줄까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경쟁을 넘어 협력으로! 대안대학을 꿈꾸다 부대신문* 2014.05.20
부대신문 총학생회 ‘보이는 라디오’, 한 학기의 마침표를 찍다 부대신문* 2016.07.11
부대신문 우리 학교 목재 데크 6곳 중 3곳이 훼손돼 있다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터진 감 때문에 보도블럭을 피해 차도로 걸어다닌다" 부대신문* 2017.10.0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