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편식은 이제 그만!

부대신문*2012.09.05 18:13조회 수 1136댓글 0

    • 글자 크기
    
   
정희연 기자
  한국e스포츠는 눈부신 성장을 거뒀다. 90년대 말 ‘최초’의 프로리그, 프로게이머협회, 게임 전문 중계 방송국 등의 등장은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성공적인 첫 단추였다. 현재 전세계에 e스포츠 진흥을 위한 e스포츠협회를 조직한 국가가 24개국에 이르는데 우리나라 e스포츠협회와 e스포츠의 부흥은 타국가의 선례이자 모범이 됐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e스포츠 시장은 편식을 해왔다. 스타크래프트1에 한정된 성장이 그것. 2010년 시작된 한국e스포츠 업계와 미국 블리자드사의 힘겨루기 싸움인 지적 재산권 분쟁은 주요 프로리그가 열리지 않는 문제로 이어졌다. 프로리그가 줄어들어 중계방송 역시 축소돼 MBC GAME은 음악 채널로 전환했다. 또한 취재 중 만난 전직 프로게이머는 프로리그가 진행되지 않아 ‘해고’ 형식으로 정리됐던 100여 명이 넘는 선수들 중 한명이었다는 것을 회상했다.
  스타크래프트1을 편식한 e스포츠는 다양한 연령층을 아우르지 못하는 문제점도 보였다. 필자 역시 e스포츠를 왜 스포츠로 봐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취재를 시작했다.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듯 스타크래프트를 하는 주 연령층과 성별은 10·20대 남성이다. 스타크래프트 게임의 특성 상 굉장히 빠른 손놀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젊은 층의 남성이 주가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취재 중 반가운 소식들을 접할 수 있었다. 또 다른 e스포츠의 종목인 서든 어택의 경우 많은 여학생들이 즐기고 있다는 사실. 더불어 얼마 전 e스포츠의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리그오브레전드의 한 프로팀에서 비공식적으로 여성팀을 꾸려 대전에 준비 중이라는 것이었다.  
  어릴 때부터 ‘편식을 하지마라’는 충고를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e스포츠 시장은 ‘인기’에 좌지우지된다고 말한다. 사실 스타크래프트에 의존한 e스포츠 시장의 성장은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들어 보인다. 즉 다양한 e스포츠 콘텐츠의 육성이 필요할 뿐 아니라 e스포츠를 즐기는 게임 유저들, 관중들 모두 게임 편식을 하지 않는 것도 필요하다. 게임에 관한 개인의 선호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타 종목의 e스포츠에 관한 관심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특히 여성들도 e스포츠에 관해 한번쯤 관심을 가지길 기대해본다. 스타크래프트가 전부인 줄 알았던 필자와 같은 여성들에게 서든 어택, 혹은 21개나 되는 e스포츠 종목 중 한 개쯤은 자신의 여가활동으로 만들 수도 있는 게임이 있지는 않을까. 스타크래프트의 아우성을 뛰어넘을 콘텐츠의 개발과 다양한 관중들의 폭넓은 관심으로 e스포츠의 부흥을 다시 한 번 응원한다.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2132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대학원 교육과정의 개편을 맞이하여 부대신문* 2013.06.22
부대신문 “지하철을 떠나고 싶다” 홀로 부담 짊어지는 기관사 부대신문* 2013.09.03
부대신문 또 하나의 페르소나, 목소리로 연기하는 사람 부대신문* 2014.06.12
부대신문 아직 남은 희망에 기대 보내는 연애편지Ⅱ 부대신문* 2012.09.05
부대신문 "여자 궁디(엉덩이) 만지는 게 비일비재한데 경찰이 그것까지 핥아줘야 하나" 부대신문* 2017.08.02
부대신문 교내 연구비 지원 줄어… 연구논문의 질 검토는 필수 부대신문* 2013.06.20
부대신문 상반기 회계감사 마무리, 감사방식 미흡함 지적돼 부대신문* 2014.10.30
부대신문 1427호 캠퍼스 찰칵 부대신문* 2011.09.19
부대신문 대리투표 사건 논의 위한 대의원총회, 이대로 무산되나 부대신문* 2016.02.14
부대신문 그냥 망해버려라 부대신문* 2013.10.15
부대신문 "여름방학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효원인들의 방중 계획은 무엇입니까?" 부대신문* 2014.06.12
부대신문 1430호 취업알리미 부대신문* 2011.10.25
부대신문 BTL! 명목은 지원, 실상은 사업 부대신문* 2013.06.22
부대신문 사고 잦은 부산지하철, 시민의 안전 이긴 자본의 논리 부대신문* 2013.09.03
부대신문 <부산대학교 70년사> 편찬 작업 본격화 부대신문* 2014.10.30
부대신문 여섯 ‘배짱이들’ 배짱 있게 세상을 찍어내다 부대신문* 2011.09.19
부대신문 제 2도서관 대체열람공간, 기존 좌석의 80% 수준 확보돼 부대신문* 2013.06.20
부대신문 학생들에게 인정받는 원생회 되고파 부대신문* 2013.10.15
부대신문 무허가 홍보물 철거된다 부대신문* 2014.10.30
부대신문 ‘장애’라는 알을 깨고 아름답게 ‘부화’하다 부대신문* 2011.09.19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