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히 서울은 자본주의 원리가 훨씬 철저하게 적용되는 곳인 듯.

글쓴이2017.06.09 16:27조회 수 1405추천 수 8댓글 14

    • 글자 크기

일개 지방대 석사과정생이라고 무시당할 줄 알았는데......

 

어린나이에 전문직이랑 대학원이랑 같이 한다고 다들 높이 평가해주네요.

 

솔직히 서울가서 교육하는데 무시할줄알았거든요.

 

뭐 사법고시 출신 변호사 같은 것도 아니고 어느정도 주눅을 들었었는데

 

립서비스인지는 모르겠지만 후한대접에 깜짝 놀라긴 했습니다.

 

마이피누에서는 부산대는 지방대 아니냐, 부산대 대학원 가는건 미친짓이다,

 

요즘에는 전문직도 소용없다 같은 글 만 봤었거든요.

 

우연히 서울 모 대기업에 강의하러 갔다가 반응들을 보았는데,

 

확실히 서울 쪽은 열심히 하는 사람들에게 입으로하는 평가보다는 그 만한 대가(즉 돈.

 

1시간 30분 강의하고 90만원 받았네요. 1분에 만원이라니...)를 주네요.

 

철저하게 자본주의에 충실한(?) 곳이라서 그런걸까요.

 

같이 강의한 사람은 학부 서울대 출신인데 50만원 받았거든요.

 

그래도 나름 제가 석사라니까 그 만큼 쳐주네요.

 

여담이지만 여직원들이 계속 와서 명함달라고 해서 좀 놀랐어요ㅎ

 

부산사투리 재밌다면서 끊임없이 말을 시키는데 공부하느라 연애라고는 한 번밖에 못해본

 

사람이라 너무 두근두근 대더군요.

 

물론 이것도 자본주의 원리(?)겠지만요......

 

다시 부산에 왔는데, 부산대는 학생들부터가 "내가 다 겪어봐서 아는데

 

여기는 뭐 때문에 안되고 뭐는 할 수 없고 뭐 밖에 못한다"는 식으로

 

이런식으로 다른사람이 이룬 것에 대해 철저한 평가보다는 비아냥거리면서

 

약간은 꼰대스러운 기질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적어도 마이피누에서는요.

 

저는 부산에 정착할 생각이라 서울에 대한 별다른 동경심은 없지만

 

(차라리 영어공부해서 외국지사를 차리지...)

 

젊을 때 부터 합리적인(이라고 쓰고 시장경쟁원리라고 읽기는 하지만......) 관점에

 

노출되는 빈도는 부산이 좀 적은 것 같더라구요.

 

나름 대학원도 다니고 고시공부도 하면서 발버둥쳤던 사람으로서는

 

아쉬운 생각이 드네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5903 .10 거대한 변산바람꽃 2019.04.27
165902 .12 똥마려운 반하 2018.07.12
165901 .9 초조한 주목 2015.03.14
165900 .2 못생긴 별꽃 2017.10.20
165899 .4 가벼운 단풍마 2018.12.14
165898 .47 착실한 밤나무 2016.01.30
165897 .11 친근한 고란초 2018.07.06
165896 .2 근엄한 하와이무궁화 2018.03.23
165895 .11 화난 이팝나무 2017.04.01
165894 .32 침울한 분단나무 2017.12.18
165893 .2 건방진 쇠물푸레 2021.01.21
165892 .9 살벌한 벽오동 2016.12.29
165891 .5 한심한 층층나무 2017.10.22
165890 .6 촉박한 라벤더 2013.06.13
165889 .5 짜릿한 대팻집나무 2020.03.16
165888 .2 근엄한 도라지 2017.03.05
165887 .1 잘생긴 헬리오트로프 2016.01.24
165886 .2 침울한 달맞이꽃 2016.04.19
165885 .9 정겨운 밤나무 2017.09.13
165884 .9 촉박한 해바라기 2018.04.1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