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 vs. 금융공기업 1탄

허약한 목화2020.10.04 13:13조회 수 4848추천 수 8댓글 60

    • 글자 크기

* 반말, 욕설, 정치글 작성 시 게시판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

 

(글 쓰기에 앞서 자극적인 제목 죄송합니다 ㅋㅋ)

 

최근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고 있어서 모교 홈페이지를 살펴보다가, 문득 생각나서 마이피누 들어와보니 재미있는 논쟁이 벌어지고 있었네요 ㅎㅎ 전문직과 대기업.공사.공무원 중 어느 것이 낫냐는 것인데... 그러한 고민을 아주 현실적으로 해본 사람으로서 제 고민의 과정들 조금 풀어놓으면 후배들한테 도움이 될까 해서 글을 써봅니다. (무료한 주말 약간의 지적 자극을 받기 위함도 있습니다 ㅎㅎㅎ)

 

참고로 저는 소위 말하는 '서울 대형 로스쿨'과 'A매치급 금융공기업' 두 개를 모두 합격했고 후자를 선택한 사람입니다. 다만 저는 원래 금융공기업을 지망하다가 로스쿨은 출구전략으로 생각하고 있었어서, 금융권에 심정적인 애착이 조금 더 있음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ㅎ

 

1. 보수와 근속기간

이 부분이 일률적으로 비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금융공기업은 평생에 걸쳐 인식되는 캐시플로우가 아주 안정적인 반면, 변호사는 본인의 능력이나 환경에 따라서 수입이 들쑥날쑥하지요. 그래서 몇 가지 (현실과 맞지 않을 수도 있는) 가정이 필요했습니다.

 

① 금융공기업의 경우 알리오에 공시되는 평균연봉을 그대로 인용한다. 단, 남/녀가 나누어져 있을 경우 남자 평균연봉을 인용한다. 

 

=> 일반적으로 국내 대부분의 직장이 남성은 대졸 정규직 공채 출신이고 여성의 경우 비정규직이거나 고졸 정규직 공채임을 감안했습니다. 해당 가정에 따라 제가 입사하던 당시 저희 기관의 생애소득을 추정하니 약 43억 정도가 되더군요. 이를 그대로 인용합니다. 입사한 이후 실제 급여를 받아보니 크게 무리한 가정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② 금융공기업과 변호사의 생애소득이 유사할 경우 금융공기업의 소득이 실제로는 더 높다.

 

=> 공기업의 경우 로펌과 다르게 다양한 복리후생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했습니다. 실제로 생계에 필요한 대부분의 비용(입사 전엔 생각도 못했던 비용까지도)을 회사에서 지원해주기 때문에, 미혼인 제 기준으로 계산해보니 연간 대략 1~2천만원 정도의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내대출 제도 덕에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낮출 수 있다는 것도 아주 큽니다.

 

③ 변호사는 로스쿨을 4년만에 마친 후 반드시 로펌을 지망한다.

 

=> 여기서부터 조금 무리한 가정이 시작되는데, 변호사의 생애 소득 모델이 너무 다양한 탓에 통계 자료와 각종 현직, 로스쿨 학생들의 증언을 조합하여 표준 모델을 만들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해당 가정은 70% 이상의 변시생이 재시 이내에 합격한다는 통계(초시에 합격한 비율이 더 높았던 것 같지만, 조금 보수적으로 적용)와, 로스쿨을 갓 졸업한 변호사의 가장 많은 진로는 로펌이라는 복수의 증언에 의존했습니다. 이에 따라 로스쿨 관련 비용으로 7,000만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하나 이 부분은 생애소득 계산에 미미한 부분이라 제외했습니다.

 

④ 로펌은 대형로펌(10권 이내)과 중소형로펌으로 나뉜다. 대형로펌은 SKY 로스쿨을 졸업했을 시에만 가능하다.

 

=> 통계자료에 의하면 SKY로스쿨에서 30% 이내의 학생만이 소위 변호사의 윗길이라 불리는 검.클.빅.에 합격하고 다른 로스쿨들은 거의 유의미하지 못한 숫자가 저 진로에 발을 들입니다. 따라서 비SKY로스쿨을 갔을 경우 대형로펌을 갈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가정했습니다.

 

⑤ 로펌에 입직한 변호사는 10년의 고용기간을 아무 문제 없이 거친다. 연봉은 대형로펌 1.8억, 중소형로펌 1.1억을 지급받는다.

 

=> 파트너를 달지 못하는 대부분(50-60%)의 변호사는 10년 안에 본인의 길을 찾아 떠난다고 하지만, 계산의 편의를 위해  10년 동안 (유학 다녀오는 동안에도 연봉을 100% 다 받으면서) 근속한다고 가정했습니다. 연봉은 복수의 증언을 통해 대형로펌 세후 월 1,000만원 수준, 중소형로펌 세후 월 500-600 수준이고 상승분은 미미한 수준임을 감안하여 위와 같이 가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로스쿨을 졸업한 변호사는 30대 후반 ~ 40대 초반쯤까지 생애 소득이 18억(대형), 11억(중소형)이 됩니다.

 

⑥ 파트너로 진급한 변호사는 정년(60세)을 마친 후 가동연한(70세)이 종료될 때까지 개업변호사로 근무한다.

⑥-1 파트너로 진급하지 못한 변호사는 가동연한이 종료될 때까지 개업변호사로 근무한다.

파트너 변호사의 연봉은 4억(대형), 2억(중소형), 개업변호사의 연소득은 0.9억으로 가정한다.

 

=> 여기서부터 변호사로서 진짜 인생이 시작되는 부분인데, 대형로펌 파트너를 달아도 기본급(1~2억 수준)만 겨우 받아가는 파트너가 있고, 개업해서 크게 성공해 수십억을 벌어들이는 변호사도 있습니다. 마치 개업을 한 변호사가 실패했다는 늬앙스가 마음에 들지 않으신 분은 ⑥의 '파트너로 진급한 변호사'를 '상위 30% 변호사'로, 동항 1호의 '파트너로 진급하지 못한 변호사'를 '하위 70% 변호사'로 치환하셔도 논리에 큰 무리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정년 및 가동연한, 연봉 모두 복수의 증언 및 신문기사를 조합하여 가정하였습니다. 파트너 변호사는 연봉 편차가 아주 큰 직종이라 평균 연봉을 책정하는 데 고민이 많았는데, 각 로펌들의 기본급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평균낸 뒤 성과급을 기본급의 1,000% ~ 1,200% 수준일 것이라고 가정하는(복수의 증언에 의해 '성과급이 기본급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수준'이라는 정보를 토대로) 단순한 방법을 쓸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것이 개별 변호사의 생애소득을 추적하는 데 있어서 해당 모델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ㅠ_ㅠ

 

여하튼, 이에 따라 가동연한 종료 시점의 생애 소득은 139억(대형로펌), 74억(중형로펌), 52억(대형 후 개업), 45억(중소형 후 개업)입니다.

 

⑦ 파트너 변호사와 개업변호사는 4:6의 비율로 존재한다.

 

=> 약간 관대한 가정일 수 있는데, 복수의 증언을 통해 아직까지는 국내 로펌들의 파트너 승진 비율이 그렇게 낮지 않음(약 20-30% 수준)을 확인하였고, 개업에 성공한 변호사까지 '파트너 변호사'로 정의한다면 이 정도 비율은 유지하고 있을 것이라 가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가동연한 종료 시점의 생애 소득은 86억(대형로펌 입직), 56억(중소형로펌 입직)입니다.

 

소결.

위 결과에 따라 중소형로펌으로 입직하더라도 13억 정도의 생애소득 격차가 있고(퇴직 후 연금, 복리후생 등을 제외한 결과), 금융공기업 직원이 퇴직 후 연금생활을 할 동안 변호사는 실질적으로 소득을 창출하여 최종적으로 자산규모에 약 5억원 정도 격차가 생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후 노동강도(특히 영업의 유무), 직업적인 명예, 생애소득의 편차, 파트타임으로 일할 수 있는지, 근무지역 등등 좀 정성적인 부분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점심 먹고 쓰고 싶으면 쓸 거고 아니면 다시 침대 뒹굴거릴 예정이라 2탄이 나올진 모르겠지만! ㅋㅋㅋㅋ 긴 뻘글 읽느라 수고했어요 후배 여러분 ㅋㅋ

    • 글자 크기
전문직 공부 진짜 어렵네요. (by 깨끗한 골풀) 전문직 vs 금공 1탄 쓴 사람은 보아라 (by 즐거운 무화과나무)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31549 전문직에대한 아쉬움15 가벼운 가막살나무 2019.05.03
131548 전문직에 도전하세요5 살벌한 마삭줄 2017.07.03
131547 전문직과 미국대학원유학 사이에 고민중입니다.7 황송한 솔나물 2014.08.25
131546 전문직과 공기업 취직 중 고민이 많습니다11 절묘한 미모사 2017.06.22
131545 전문직, 공기업, 공무원, 대기업, 성공한 자영업 아니면 다 불효자죠 ㅋㅋㅋ11 부지런한 큰물칭개나물 2018.05.25
131544 전문직+박사 조합 어떤가요?9 착실한 벚나무 2016.11.28
131543 전문직 행정사??8 친숙한 네펜데스 2020.04.29
131542 전문직 합격후 로스쿨 진학 어떤가요??6 센스있는 대마 2017.07.20
131541 전문직 월급표76 황송한 개모시풀 2019.12.08
131540 전문직 어떤가요??5 까다로운 아주까리 2017.07.02
131539 전문직 어그로글 보니까16 청결한 탱자나무 2020.01.05
131538 전문직 시험 장학금 있나요?6 친근한 수리취 2015.07.27
131537 전문직 서열?12 명랑한 조 2013.12.27
131536 전문직 법인 학점7 큰 작두콩 2017.07.11
131535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9 명랑한 통보리사초 2018.04.28
131534 전문직 공부중인데 학우분들은 몇시간 공부하세요??5 억쎈 피나물 2020.03.22
131533 전문직 공부 진짜 어렵네요.5 깨끗한 골풀 2017.07.15
전문직 vs. 금융공기업 1탄60 허약한 목화 2020.10.04
131531 전문직 vs 금공 1탄 쓴 사람은 보아라4 즐거운 무화과나무 2020.10.05
131530 전문직 or 7급준비 고민됩니다.12 나약한 깨꽃 2020.03.1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