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에 중도 자리관련 글쓴이 입니다.

느린 능소화2012.10.15 22:30조회 수 606댓글 12

    • 글자 크기

 우선 저렇게 글을 올린데 대해 기분나쁘셨다면 사과드립니다.


이전 페이지에서 글을 보는 중에 저 주제에 관련해 논란이 되는 부분이 있길래


저도 그 글과 비슷하게 적어보았습니다. 다시 한번 그 점에서는 사과드립니다. 


학우분들의 생각이 궁금하기도 했고 거기에 대해 제 생각을 정리 할수 있었습니다.


일단 장시간 자리 부재에 대한 많은 학우분들이 비난도 하시고 몇몇분들은 이해를 하셨으며


일부에서는 그럴꺼면 자리를 잡지 말란 식의 주장도 있었습니다.


장시간 자리를 비우는 사람중에는 하루에 시험이 3개가 연달아 있어 어쩔 수 없이 자리를 비워야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고 전날 늦게까지 공부를 하여 모자란 수면을 채우기 위해 기숙사나 자취방에서


잠을 자는 학우도 있을수 있습니다. 분명히 이 사람들은 정당하게 자리를 배정받았고 그 자리를 얻기위해


새벽같이 일어나 중도로 향했습니다.


지금 좌석배정 시스템은 이른바 선착순 자유배석제입니다. 지정좌석제나 랜덤배정도 있을 수 있겠지만 


지금 여건으로는 불가능 하죠. 그리고 선착순은 가장 간편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말하고 그와 동시에


불평등하고 불공정한 결과가 생기기도 합니다. 

 

 선착순이란 것에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떠지지않는 눈을 겨우 열고 피로에 지친 몸을 일으켜 세워


학교로 향하게하는 이 노력을 1차적 노력이라고 본다면 위에서 얘기한 사람들은 1차적 노력을 충실히


이행한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힘들게 얻은 자리에 앉아 공부하는 것을 2차적 노력이라고 봅니다.


 이들이 과연 일부러 장시간 자리를 비우려고 저렇게 일찍 왔을까요? 그렇지는 않을겁니다. 지금 시스템의


구조상 늦게 오면 저녁 늦게까지 자리를 잡지 못하니 어쩔수 없이 잡는 거죠.   

 

물론 단순히 자리만 잡고 놀러간다거나 수다떠는 사람도 있을수 있죠. 하지만 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부산대생을


전재로 하는 말이며, 저런 사람은 소수이길 바라겠습니다.


 반면 늦게 온 사람들은 2차적 노력의 의지가 불타오른다고 해도 애초에 성립조건인 1차적 노력이 부족했습니다.


지금 시스템이 비록 불공정하다고 해도 다른 대안이 없다면 따르지 않으면서 마냥 비판만 할 것이 아니라 거기에 


자신을 맞추는 것도 어느 정도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좌석을 비우는 사이에 자리 못잡은 학우에게 언제까지 좌석을 이용하라고 종이에 써두는 것은 충분히


장려할만하고 아름다운 일이지만 그렇지 않다고 해서 또 그렇게 비난 할 것까진 없다고 생각이 드네요.


 결과적으로 자기가 자초한 일이고 또한 거기에 책임을 져야 하니까요.




많은 분들의 장기 좌석 부재자에 대한 무조건적 비난은 제 입장에서는 조금 이해하기 어려웠고 또한


몇몇 분들의 늦게온 이들에 대한 관대한 자세 또한 이해하기 힘들었습니다. 


다 함께 공부하고 다 함께 잘 될 수 있다면 그것만큼 좋은것도 없겠지만 현실이 그렇지 못하니


자기 자신을 위해서라도 거기에 순응해서 사는 것만큼 더 나은 방법도 없다고 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반론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 글자 크기
차였는데 너무 힘드네요 (by 청렴한 달리아) 남자분들 (by 즐거운 단풍나무)

댓글 달기

  • 저도 글쓴이 생각에 동의하는 사람입니다,
    기회비용이 있는 거지요 일찍 일어나서 남들보다 잠이나 시간이라는 단위를 희생했으니 그걸 누릴 비용은 있는 거라 생각합니다
    나는 멀다, 오래걸린다 그럴수 있지만 가까이 사는 분들은 돈이라는, 월세나 기숙사라는 비용을 지불한 것이니 이것또한 변명의 이유가 아니라 생각합니다
    다만, 장기간 자리 부재는 인도적인, 인륜적인 것을 말씀하실 수 있겠지만
    학교 교칙이나, 기타 룰이 강제성이 없는 이상 호의를 행사하는것은 그 사람의 인성, 인덕에 따른것이지 그걸 지탄할 권리는,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나약한 맨드라미
    글쓴이글쓴이
    2012.10.15 23:08
    경제학적인 관점의 의견 감사합니다. 온정주의에 의한 다수의 행복도 중요하지만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통한
    개인의 권리 역시 존중 받아야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 원인제공자로서 할말은 많은데 이따 기숙사 들어가서 하겠습니다.
  • @힘좋은 까치박달
    글쓴이글쓴이
    2012.10.15 23:09
    아 빨리! 잠온단 말이에여,
  • @글쓴이
    빨리 써달래서 썼는데 님은 어디가셨나요 벌써 주무십니까? 잉잉잉
  • @힘좋은 까치박달
    글쓴이글쓴이
    2012.10.16 01:51
    나 이름 바뀜여 ㅋㅋ
  • 그런 의미에서 다른 학교처럼 도서관 나갈 때도 카드를 꼭 찍게 해서 제한시간 이상 출입하지 않으면 자동 좌석반납 제도가 꼭 나왔으면 좋겠네요~ 회전율(?)이라도 빨리되게~ 어쨌든 지금 시스템상으로는 개개인의 도덕성에 기댈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요 ㅜㅜ
  • @냉철한 분꽃
    글쓴이글쓴이
    2012.10.15 23:14
    그렇죠, 사실은 이렇게 누가 옳다 그르다 할게 아니라 더 효율적이고 더 공정하게 할 수 있는 보완책이나 제도를
    서로 서로 모여 강구하는게 훨씬 더 생산적이라고 봐요
  • 난 글쓴이를 응원한다!
  • @민망한 지리오리방풀
    글쓴이글쓴이
    2012.10.15 23:15
    감사하오 동지 뜻을 함께 합시다!
  • 힘내세요
  • 나혼자 잘되자 보다는 모두가 잘될수있는 방향을 더 고민하셔서 참 좋네요 논란이후에 페이스북억 자리사용후 비는시간이길어질때 좌석번호를 쓰고 자신의자리를 쓰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똑똑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사랑학개론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6 나약한 달뿌리풀 2013.03.04
37583 호감 확인12 교활한 사피니아 2018.08.20
37582 저 여잔데요..ㅠ12 보통의 청미래덩굴 2014.11.13
37581 외로워요12 흐뭇한 섬백리향 2014.10.22
37580 여자친구랑 헤어지고나서12 머리나쁜 석잠풀 2014.02.19
37579 남자친구가 잘해주는데12 멋진 개구리밥 2016.03.15
37578 마이러버 4기 D-612 다부진 접시꽃 2012.11.13
37577 차였는데 너무 힘드네요12 청렴한 달리아 2016.05.08
밑에 중도 자리관련 글쓴이 입니다.12 느린 능소화 2012.10.15
37575 남자분들12 즐거운 단풍나무 2016.05.19
37574 시험기간에 몇시간자나요?12 창백한 참깨 2014.12.12
37573 마이러버12 느린 회향 2018.01.13
37572 어휴,, 연락이 오긴왔는데12 멍청한 골풀 2013.05.04
37571 저도 연애하고싶어요12 정겨운 서양민들레 2018.03.25
37570 빗자루가 말했습니다.12 즐거운 개비름 2017.01.05
37569 남자들이 생각하는 진짜 좋은 남자12 가벼운 달래 2016.02.17
37568 여성분들 도서관12 안일한 하와이무궁화 2015.06.28
37567 남자에게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매력인데 여자분들은 어떤걸 매력으로 보시나요?12 섹시한 깽깽이풀 2015.06.04
37566 .12 유별난 서어나무 2016.11.06
37565 공부 열공하시는 분한테 쪽지 주면 실례인가요?!12 찌질한 회화나무 2016.05.20
37564 [레알피누] 궁금한점12 겸연쩍은 마디풀 2019.06.2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