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문학과 영상 예술 김경연 교수님 분반 과제요!ㅜㅜ

쉬엄2017.04.12 23:49조회 수 612댓글 2

    • 글자 크기

영화 세편 보고 과제 제출하는거 있잖아요ㅠㅠ 혹시 영화 세편 중에<시>라는 작품 어떤 감독 영화인지 알 수 있을까요.. 이창동 감독의<시>는 아니라고 하셨던거 같은데..

    • 글자 크기
기초일본어1 월수 한시반 이지현교수님반ㅠㅠ질문요 (by 잉잉엉엉) 복전부전 (by 익명3)

댓글 달기

  • 이창동 감독 시 맞을거에요.
    일단 이창동 감독 말고는 <시> 제목의 국내 영화가 없고,
    교수님이 그 영화 최근에 언급 한번 또 하셨거든요.

    혹시 이창동 감독의 <시>가 맞다면
    그 부분을 언급하시면 점수 잘 받으실 수 있을거에요.

    그 할머니가 시를 쓰면서 자살한 여학생을 애도하게 되는데
    시가 장르적으로 '나와 세계의 동일화'를 꾀하는 장르이기 때문에
    그 할머니는, 시를 씀으로 인해서 그 학생과 자신을 입장/감정을 동일시 한 겁니다.
    그 점에서, 치매를 겪고 기억이 사라져가는 할머니야말로 오히려 진정으로
    그 학생의 고통과 입장을 공감하려 했던 사람이라는 점 언급해 보시고,

    연출에 있어서도 이 점이 탁월했다고 언급하시면 좋을 거에요.
    처음 장면에, 학생이 투신하기 전에, 카메라가 여학생의 뒤를 잡습니다.
    강에 투신한 후에도, 시체는 뒤집어져 있어, 결국 학생의 얼굴은 보이지 않아요.
    그 점에 있어서는, 영화의 서사가 시작되기 전이기 때문에
    아무도 그 학생의 아픔과 상처를 진정으로 공감하지 못 했기에, 학생은
    뒷모습 만으로, 즉 철저한 익명으로 남아있던 상황이고, 진실과 마주한 사람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영화 결말에서, 수미상관처럼 처음 시퀀스가 그대로 반복되는데
    대신 이번에는 여학생이 뒤를 돌아보는 장면이 추가되면서
    학생의 얼굴이 처음으로 관객에게 보이게 됩니다.
    여기서, 이제 관객이 진실과 마주하게 된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극중에서 할머니가 그 학생과 공감하려 한 '시쓰기'라는 활동을 통해서,

    관객 대신에 그 학생을 이해하려 시도했기 때문에요.
    학생의 얼굴을 마주하게 됨으로써요. 더이상 익명으로, 이해할 수 없는 사건으로 남는 게 아니라요.

    제가 두서없이 썼지만,
    영화 한번 보시고, 개인 감상 더해서 저 두 부분 좀 늘여서 써 보시면
    최소한 <시> 레포트에서만큼은 좋은 점수 받으실 수 있을 거에요.

  • @장터좀사용하면안되냐
    쉬엄글쓴이
    2017.4.13 01:59
    아니.. 이렇게 정성껏 답하시면 제가 너무 감사한데요... 으어엌ㅋㅋ 감사합니다 정말로! 열심히 해볼게요 ㅎㅎ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80898 진지한글 족보(기출문제) 카테고리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7 맨프럼어스 2017.04.13
80897 질문 김혜영 교수님! 슬픔씨 2017.04.13
80896 가벼운글 자취생중 아침챙겨드시는분 얼마나 있을까요..8 다이어트9 2017.04.13
80895 질문 레포트각주ㅠ5 리스테린 2017.04.13
80894 질문 PassFail수업1 Amilyty0 2017.04.13
80893 질문 헌법 김종보 교수님 월수1시반 강의 중간고사날이2 Jumper 2017.04.13
80892 질문 김희재 교수님 일상생활과 음식문화 냠냠얌 2017.04.12
80891 질문 월요일 이학만교수님 컴퓨팅사고 세시 수업 듣는분 영원한별 2017.04.12
80890 질문 기초일본어1 월수 한시반 이지현교수님반ㅠㅠ질문요 잉잉엉엉 2017.04.12
질문 문학과 영상 예술 김경연 교수님 분반 과제요!ㅜㅜ2 쉬엄 2017.04.12
80888 가벼운글 복전부전6 익명3 2017.04.12
80887 질문 공미방 질문3 마이핏잇누 2017.04.12
80886 가벼운글 클린 중도는 새벽 시간대 아닌가요?! 다이소에다있오? 2017.04.12
80885 가벼운글 기계과 ㅎㅅㅁ 교수님 시험2 기끠기끠 2017.04.12
80884 진지한글 헌법 김종보교수님2 ddeeee 2017.04.12
80883 질문 신재식 교수님 한문1 시험 어쩌죠?? 부대의마법사 2017.04.12
80882 질문 건설관 문 멏시에 여나요? 기시귀신 2017.04.12
80881 질문 중도 2층 자유석 자리정리 몇시에 해요???!!??1 개구멍 2017.04.12
80880 질문 김문휘교수님 경제학원론6 된다네애에 2017.04.12
80879 질문 부산대 주변에 USB 복구하는 곳 있나요?4 RAR 2017.04.1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