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전원] 준비중인데,,, 한국에서 의사 힘든가요??;;;;;;;;;;;;?!

처참한 고구마2017.04.13 12:10조회 수 2584댓글 17

    • 글자 크기

의대 편입, 의전원 준비 시작하려고 하는 22살 이공계 뇨자 ~ 입니당ㅎㅎ

한국에서 의사 힘든가요? 어제 뉴스 기사 보면 일본으로 가는 의사들이 많아졌다고 하네요ㅠㅠ

건너 건너 아는 오빠가 일본 도쿄에서 의사하긴 하는데,,, 돈도 많이 벌고 존경 받고 여유있게 잘 산다고는

들었거든요...전 일본어도 못하고 한국에서 살건데요ㅜㅜ 혹시 한국 의료계 잘 아시는 분 있나요?ㅠㅠ  

의대편입,의전원 준비 시작하려는 입장에서맥이 빠지넹쇼ㅠㅠㅠㅠ(김치국 부터 마시는것 같긴하지만요;;;)

 

 

“의대생 시절 실습차 일본 대학병원에 한 달 동안 있었는데,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한국 의사들은 거의 병원에 살다시피하는데 일본은 인턴(수련의)이 오전 8시 30분에 출근해 오후 6시 30분에 퇴근하고, 당직도 한 달에 많아야 4번 정도더군요.”

부산대 의대를 졸업한 강현경(31)씨는 공중보건의로 일하며 일본 의사국가시험(이하 국시)을 1년간 준비했다. 시험에 합격해 일본 의사면허를 손에 쥔 그는 2015년 일본으로 건너갔고, 현재 교토대학병원에서 정형외과 후기연수의(한국의 전공의 개념)로 일하고 있다.

최근 의사들 사이에서 ‘탈(脫)한국’ 바람이 불고 있다. 진료보다 매출에 연연하는 분위기, 치열한 경쟁과 높은 업무강도에 염증을 느낀 의사들이 일본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 ‘JMLE KOREA’, ‘일본 의사 한국 의사’ 등 일본 의료계 진출 노하우를 공유하는 인터넷 카페도 여럿 생겼다. 일본 후생노동성(한국 보건복지부에 해당)의 2014년 자료에 따르면, 일본에서 국시를 치른 외국인 중 15%는 한국인들로, 중국에 이어 2번째로 많다.

‘일본 의사 한국 의사’ 카페 운영자이자 내과 전문의인 홍문기(34)씨는 “일본 진출을 준비하면서 지난해 2월 카페 문을 열었는데, 1년 만에 (의사) 회원 수가 850명이 됐다”고 했다. 홍 전문의는 의료인단체가 주관하는 일본 진출 설명회와 관련해 “2~3년 전만 해도 일본 의사고시 설명회 수강자가 20~30명 수준이었는데, 요즘은 100명 이상이 온다”고 말했다. 2011년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가 공동으로 열었다가 수요가 적어 사라지는 듯했던 ‘JMLE(일본의사고시) 설명회’는 지난해 다시 부활했다.
 

일본 의료계 진출 노하우를 공유하는 인터넷 카페들/'일본 의사 한국 의사', 'JMLEKOREA' 홈페이지 캡처


◇‘많이 일하고 많이 벌기’보단 ‘적당히 일하고 적당히 벌자’

국내 의대를 나온 의사들이 일본으로 떠나는 이유는 돈 때문이 아니다. 전공별 차이를 차치하고라도 월급을 받는 한·일 양국 의사들의 평균 연봉을 비교하면 한국이 오히려 더 높다. 보건복지부와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에서 월급 받는 의사들의 평균 연봉은 1억 6500만원인 반면 같은 기간 일본에서 월급을 받는 의사들의 평균 연봉은 1154만엔(한화 1억 1600만원 상당)으로 한국이 4900만원가량 높다.

/조선DB


그럼에도 일본을 가는 이유로 의사들은 ‘인간다운 삶’을 꼽는다. 지난달 17일 발표한 일본 국시에 합격해 다음날 도쿄로 떠난 의사 이태훈(31)씨는 “한국에서 수련의는 시키는 일은 군말 없이 해야 하는 ‘노예’지만, 일본에선 가르쳐야 할 ‘교육생’으로 대해준다”면서 “(수련의에게) 무언가를 시키기보단 알려주는 것에 주력한다”고 말했다.

실제 일본 의사들이 말하는 일본 전공의의 주당 노동시간은 50~60시간 남짓이지만, 한국은 지난해 12월 말이 돼서야 주당 근무시간을 80시간으로 제한하는 ‘전공의 특별법’을 시행했다. 하지만 인력 충원이 어려운 병원 현장에서는 이마저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하소연이 나오고 있다. 2015년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 전공의 설문조사 결과, 한국 전공의 중 52.7%는 주당 80시간(휴일 제외 하루 평균 16시간)을 초과해 근무했으며 주당 100시간 이상 근무한 전공의도 27.1%에 달했다. 일본에서 일하는 의사 강씨는 “일본 내과의 경우 하루에 담당하는 환자도 4~6명 수준이라, 근무강도가 한국과 비교하면 비교적 낮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일본 진출은 20~30대 나이대의 젊은 수련의나 전공의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홍 전문의는 “(일본 의사 한국 의사) 카페 가입 회원(의사) 중 절반가량은 40대 이상”이라며 “환갑에 일본 진출을 준비 중인 의사도 있다”고 했다. 실제 일본 진출을 준비 중인 한 40대 정형외과 전문의 김민석(가명)씨는 “한국에서 병원장과 이야기하면 진료 얘기보다 매출 얘기를 주로 한다”며 “반면 일본 의사들과 만나 이야기해보면 월급쟁이가 아닌 의사로서 살아가는 게 느껴져 일본 진출을 마음먹게 됐다”고 말했다.
 

일본 의사 국가 시험 소개/일본 후생노동성 홈페이지 캡처


◇ 준비 기간은 2~4년, 가장 어려운 관문은 ‘일본어 진료조사능력시험’

한국에서 전문의 자격증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일본에서 의사로 일하려면, 일본 의대생들이 보는 1년에 한 번뿐인 국시에서 합격해야만 한다. 심지어 국시를 보기 위해서는 2가지 관문을 먼저 거쳐야 한다. 서류심사와 일본어 진료조사능력시험(이하 진능시)이다. 서류심사에서는 기본적으로 일본어 능력시험(JLPT) 1급 자격증과 한국 의사면허, 의대 과목이수시간 증빙자료 등을 요구한다. 서류심사를 통과하고 보게 되는 진능시는 국시보다 어려운 관문으로 꼽힌다. 일본어로 진료와 진단, 차트 작성이 가능한지를 면접관에게 구술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홍 전문의는 “이 단계에서 재수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며 “일본어를 잘하더라도 전문성이 드러나는 진료 능력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 단계에 합격하면 일본 의대생과 같이 국시를 볼 수 있는 자격을 준다.

이렇게 모든 관문을 거쳐 일본 의사 면허를 손에 쥐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통상 2~4년이다. 이번 달 일본 국시 합격통보를 받은 의사 이태훈씨는 “일본어 능력시험에만 6개월을 투자했고, 서류심사와 진능시에서 한 차례씩 떨어져 총 4년이 걸렸다”며 “3년간의 공보의 시절 남는 자투리 시간 대부분을 일본 준비에 투자했다”고 했다. 이어 이씨는 “진능시와 국시도 일본에서 쳐야하고, 서류접수마저도 후생노동성 시험면허실에서 현장접수 해야 한다”면서 “일본 진출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일본 의료계가 한국보다 여유로울 수 있는 배경은?

일본 의료계가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여유를 가질 수 있는 배경으로 의료계에서는 높은 ‘의료수가(醫療酬價·의료기관이 환자와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꼽는다. 의료행위의 측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양국의 수가를 정확히 비교하긴 어렵지만 2016년 일본의 의료수가표(진료 보수 점수표)를 2016년 고시된 한국 수가표와 단순 비교해 봤을 때 진찰료와 집중치료시설(ICU) 입원, 검사, 주사, 수술료 등 전체 수준에서 약 5배 정도 높다. 또한 일본에서는 의과대학을 졸업한 의사의 수련 비용 상당 부분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다. 지원 대상에는 전공의뿐 아니라 지도전문의 인건비까지 포함된다.
 

한일 양국 주요 의료수가 항목 비교/한국 2016년‘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일본 2016년 ‘진료 보수 점수표’자료참조


하지만 한국에서는 수가 인상이나 의사 수련 비용 지원은 쉽게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민의 건강보험료 인상이나 건강보험공단 재정부담 증가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사회적 합의’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공의 육성 및 수련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의료 서비스’를 공공재로 보고 미국이나 일본처럼 예산 지원을 해야 한다는 의료계 측 주장에 보건복지부 의료정책 담당자는 “현재로서는 어렵다”며 “환자와 국민들에게 전공의 수련비용 지원으로 어떠한 부가가치가 도출되는지 충분히 입증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1/2017041101843.html

    • 글자 크기
도서관 자리체크기에서 내 자리번호 못 보나요? (by 정중한 봉선화) 질문입니다. 족보는 주로 어떤 과목에서 많이 도는 가요? (by 해박한 신나무)

댓글 달기

  • 힘든직업이죠
  • @생생한 쇠별꽃
    글쓴이글쓴이
    2017.4.13 12:12
    아는 오빠 건국대 의전 졸업하고 전문의 아닌 일반의인데도,,, 주5일 일하고 세금 때고 한달 900~1000만원
    받더라구요;;;돈은 많이 버나봐요;;;
  • @글쓴이
    뭔 답정너세요? 당연히 돈은 많이 벌죠 전문직 중에서도 최상위클래슨데...
  • 돈벌려고 의사할건가요?
  • 김칫국 시원하게 한사발~
  • 의사하면서 900받을바엔
    다른 괜찮은 직업 찾아서 더 적게 벌고 싶어요.
    의사 힘들죠.
  • 시원하게 김칫국 원샷!
  • 합격부터 하시고 고민하셔도 안 늦어요
  • 이런거 쓰고 앉아있는데 의전원은 가능한가요?
  • 꼬인사람 많네... 인생의 피같은시간 투자해서 도전하는 시험, 진로인데 알아보고 도전하는게 당연한거지.
    김칫국 마신다는 사람은 열등감에 쩔어서 그런거맞지?
  • 합격하고 알아보라는건 뭐죠?
    합격하고 났더니 생각했던거랑 다르면 시간이랑 비용 돌려주나요
  • 의사 한국에서도 잘 벌어요. 일본 가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 돈 보다는 사람을 살린다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목표를 하시면 좋응 것 같습니다.
  • 돈 가지고 의사 할거라면 당장 때리 치워요. 대학병원 제외하고 지금 일반의 들이 가장 많이 하는게 피부,비만 인데
    이마저도 포화이고 내과나 정신과 같은 곳은 더욱이 포화. 개원 할려면 적어도 7억은 있어야 벌어먹죠
    뭐 정말 소소하게 내과나 소아과 해도 4억은 넘기 듭니다.
    집이 금수저 아니거나 의대 가서도 그 안에서 톱달려서 대학병원 못 남을거면 그냥 하지마요.
    근데 정말 사람 살리는게 소명이고 하고 싶다면. 그러면 반드시 하세요.
    요즘 돈 때문에 들어오는 의대 애들보면서 안타까움에 적어봅니다
  • 정말 돈벌고 싶으면 공대 박사 석사 해외애서 따고 취엄하는게 돈 더 많이 법니다
  • 한국에서는 뭘 해도 힘든거 아닌가요?
  • 힘든건 사실이겠지만 의사라는 직업이 그만큼 보상이 따르는 직업 아니겠습니까. 님이 수련 끝나고도 대학병원에 남으려면 엄청난 고행이 따르겠지만 그냥 개업 하거나 페닥 하실 생각이면 전공과에 따라 노동강도도 많이 달라질 거구요. 그리고 의사면허 소지자라고 해서 꼭 의사일만 하는게 아니라 공직, 제약회사 등 다방면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요. 그리고 여사원이 결혼하고 출산하게 되면 아무리 대기업이라도 눈치주고 40대까지 발붙이기 힘든 것이 우리나라 실정입니다. 그래서 할 수만 있다면 다들 고용 안정성이 보장된 전문직을 선호하는 것이겠죠. 일단 한살이라도 어릴때 바짝 준비하셔서 의전원 꼭 가시구요. 의사라는 길이 너무 힘들면 그 면허로 할 수 있는 다른 일이 많으니 절대 쓸모없어지지 않습니다. 저도 윗분 말씀대로 이런 고민은 합격 후에 하셔도 괜찮다고 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92760 미시경제학 이준구 답지 있으신분9 착실한 매화나무 2017.04.13
92759 경통대 학우 여러분, 국제관 7층 전산실 이용매너를 지켜주세요.30 참혹한 모감주나무 2017.04.13
92758 정경숙 강의력4 침울한 섬초롱꽃 2017.04.13
92757 학교에 침대에서 쉴 수 있는 휴게실 어디있나요??19 털많은 참취 2017.04.13
92756 선배님한테 관심많은 후배13 운좋은 곰취 2017.04.13
92755 핸드폰 대리점 호객행위 이렇게 대응하세요. + 해당 대리점에 내려진 조치29 자상한 물푸레나무 2017.04.13
92754 [레알피누] 시험기간 보면 연합대학이 좋은면도 있을것같네요.5 청아한 며느리밑씻개 2017.04.13
92753 도서관 자리체크기에서 내 자리번호 못 보나요?3 정중한 봉선화 2017.04.13
[의전원] 준비중인데,,, 한국에서 의사 힘든가요??;;;;;;;;;;;;?!17 처참한 고구마 2017.04.13
92751 질문입니다. 족보는 주로 어떤 과목에서 많이 도는 가요?3 해박한 신나무 2017.04.13
92750 ㅜㅜ너무급해요ㅜ주기재교수님 생태학시험일정...2 깔끔한 산부추 2017.04.13
92749 재무회계 김혜리교수님과제4 기발한 대마 2017.04.13
92748 구현우 정책학원론 들으시는분들ㅠㅠㅠㅠ2 괴로운 개여뀌 2017.04.13
92747 오늘 일물실 휴강인가요?2 꼴찌 갈참나무 2017.04.13
92746 수강취소 놓쳤습니다13 기발한 앵두나무 2017.04.13
92745 정치행정과정론 시험 천재 노루오줌 2017.04.13
92744 논리회로 9시 남ㄱ곤 교수님 수업 시험언젠가요?1 민망한 달맞이꽃 2017.04.13
92743 온천제일교회 사랑해요~11 창백한 산단풍 2017.04.13
92742 원가회계 셤 문제 안에 서술, 도형그리는거 다나오나요??1 다친 물아카시아 2017.04.13
92741 힘들죠?2 보통의 하늘나리 2017.04.1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