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 문제풀이 부탁드려요.

찬란한 주름잎2017.06.10 19:43조회 수 783댓글 37

    • 글자 크기
P=100-1/2Q
Q=q1+q2
c (q1)=5q1
c (q2)=1/2q2^2로 주어져있고 완전경쟁을 할때 두 기업의 생산량과 이윤을 구하여라.
문제를 아무리봐도 모르겠어서.. 고민끝에 올립니다. 풀이 부탁드립니다 ㅠㅠ
    • 글자 크기
독학 중국어 고수분 계세요? (by 꼴찌 새콩) 공무원 행정학 스터디 (by anonymous)

댓글 달기

  • 저거 마지막식에서 2하고2사이에
    삿갓표시가뭐죠?
  • @창백한 개비름
    글쓴이글쓴이
    2017.6.10 19:52
    제곱입니다! 1/2큐2의 2승입니다.
  • @창백한 개비름
    글쓴이글쓴이
    2017.6.10 19:53
    제곱입니다! 1/2큐2의 2승입니다.
  • q1+2q2=95라는거 까지만 나오네..ㅜㅠ
  • @어두운 고란초
    글쓴이글쓴이
    2017.6.10 20:26
    조금이라도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어두운 고란초
    글쓴이글쓴이
    2017.6.10 20:26
    조금이라도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글쓴이
    다른 조건 없나요? 미시 본지가 오래 돼서 ㅜㅠ
  • @어두운 고란초
    글쓴이글쓴이
    2017.6.10 20:41
    넵 ㅠㅠㅠ 두기업이 과점 기업이지만 완전경쟁중이다? 이정도.... ㅠㅠ
  • 문제가 제대로 안갖춰져있어서 제대로 도와드리긴 힘든데요
    먼저 수요함수는 Q=하고 표현하는 게 맞고 P= 하고 표현하는건 수요곡선을 그리기 편하게 하기위한 방식이고 책에 따라 역수요함수라고도 부릅니다. 이건 문제풀이에는 필요없는 내용이고 , 과점 시장의 두 기업 duopoly라고 하는데 여기서 완전경쟁중이다라는 표현이 조금 이상하네요.. 두 기업이 별다른 전략을 취하지 않고 이윤극대화를 한다라는 가정을 그렇게 표현한것이라면 이 문제는
    기업1과 기업2의 이윤극대화 문제를 풀면 답을 얻을 수있습니다.
    기업1의 이윤은 Pq1-c(q1) 이고 이때 P는 위에 수요함수에서 얻을 수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q1에 대해 미분한 도함수가 0이 되도록 하는 q1을 구하시면 됩니다. 이때 기업2의 생산량은 주어진 것으로 여기고 푸시면 됩니다. 같은방식으로 기업2에 대해서도 이윤극대화 문제를 풀면 q2=하는 식을 얻을 수있고 두 식을 연립하여 푸시면 숫자로 나오는 최적 생산량 q1과 q2를 구하실 수있습니다 . 그 이후에 이윤은 P를 구해야하므로 두 생산량을 더해서 수요함수를 통해 구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대게 이런유형의 문제는 비용 c 를 한계비용으로 주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별 얘기가 없어서 글쓴이님께서 적어주신것은 TC로 받아들이고 풀었습니다
    게임이론을 공부하시면 각기업의 이윤극대화로 도출되는 q1=하는식과 q2=하는 식은 각 기업의 최적대응함수이고 이 둘이 만나는 지점(연립방정식의 해)는 내쉬균형이되는 것을 알 수있습니다.
  • @발랄한 고마리
    글쓴이글쓴이
    2017.6.10 21:44
    c는 tc 맞아요 ㅠㅠ 죄송해요.. 제가 잘 알지 못해서.. ㅜㅠㅠㅠ
    진짜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ㅠ 복받으실거에요 ㅠㅠ
    감사합니다!
  • @발랄한 고마리
    글쓴이글쓴이
    2017.6.10 22:09
    q1=10 q2=170 p=10 나오는데 맞는건가요?
  • @글쓴이
    q1=80 q2= 30 p=45이 나오네요
    풀이과정을 공유해드릴려 해도 여기다 다쓰기가 좀 힘드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 @발랄한 고마리
    글쓴이글쓴이
    2017.6.11 00:22
    아.. 풀이과정 어떻게 받을 수 없을까요? ㅠㅠ
  • @발랄한 고마리
    글쓴이글쓴이
    2017.6.11 00:23
    혹시 중도 다니시면.. 중도에서 말로 설명해주셔도 괜찮은데... 제가 사례라도 할게요.. ㅠㅠ 맘이 급해서..
  • @글쓴이
    전 중도안가고 집이라... ㅋㅋㅋ 중도에서 도와주실분이 있으시면 도움을 받으시고 미시경제학 책에 과점시장 부분의 꾸르노균형을 구하는 예제를 보시면 바로 이해가 되실겁니다. 어디서 어떻게 배우시고 어느 단원에서 발생한 문제인지 정확하게 질문해주셨으면 제대로 알려드렸을텐데 맨밑에 분이 지적하신대로 오해의 여지가 있네요 ㅋㅋ
  • @발랄한 고마리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23
    아..! 문제가 1번은 완전경쟁한다이고 2번이 꾸르노균형입이다.. 제가 잘 몰라서 빼먹은게 많네요 ㅠㅠ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 @발랄한 고마리
    진도는 과점까진 안 나갔지만 어부지리로 저도 잘 배우고 갑니다 ㅎ
  • 중도인데 풀이 적어드릴까요?
  • @피로한 갈매나무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16
    제가 어제 일찍 잠들어버렸네요.. ㅠㅠ
    언제든지 풀이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점심 이후에 계속 중도에 있을거라 편할 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 ?? 윗분 틀리신것 같은데. 완전경쟁인데 왜 꾸르노로 구하시지
  • 그냥 P=MC1=MC2 놓고 연립하면 q1=5, q2=185, P=5, 파이1=0, 파이2=12.5 나오는데요
  • @싸늘한 산부추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18
    어떻게 푸는거죠? ㅠㅠ
    타과생이라 아무 기본없이 미시듣다보니 공부하고 공부해도 모르겠어요 ㅠㅠ
  • @글쓴이
    어느교수님이 저런문제를....ㅋㅋㅋㅋㅋㅋㅋ 두개기업써놓고 완전경쟁이라고......ㅋㅋㅋ
  • @발랄한 고마리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37
    제가 이해를 잘 못 한거 같아요. 잘 알지를 못해서 ㅠㅠ
  • @발랄한 고마리
    완전경쟁시장이라고 꼭 기업 수 자체가 많아야 하는게 아닙니다. 무수히 많은 기업을 가정하는 것은 가격설정능력이 없다는 함의입니다
  • @싸늘한 산부추
    완전 경쟁 시장을 가정한다면 모든 소비자와 기업을 동질적인 것으로 가정합니다. 또한 그 수도 아주 많다고 가정하죠. 그리고 P=MC=AC가만족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윤이 0이 됩니다. 그래서 글쓴이님이 올려주신 문제가 완전경쟁시장을 의미하는것은 아니라고 받아들였네요 산부추님께서 구한대로 해서는 시장가격이 개별기업들의 한계비용과 같다는 것으로 놓고 푸는것은 동질적인 기업들을 가정할때 적절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완전경쟁의 장기균형은 될 수없지만, (본인이 구하신대로 보면 이윤이 발생)단기균형은 가능하다고 볼 수있습니다. 그렇지만 단기균형이라 하더라도 부분균형분석에서 단기균형은 공급곡선을 개별기업의 공급곡선의 합으로 도출합니다. 여기까지도 억지로 갖다붙인 것이고 , P=MR=MC 를 적용하고자 하면 mr을 구해보시면 우하향하는 곡선을 얻으실 수있습니다. 완전경쟁에서 얘기하는 price taker와는 다르죠. 경제학에서 보통 얘기하는 완전경쟁시장과는 글쓴이님이 올려주신 가정들이 달라서 문제가 누군가 억지로 만들어낸 문제일 거같다는 생각이드네요 ㅋㅋ
  • @발랄한 고마리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25
    아.. ㅠㅠ 감사합니다.. ㅠㅠ 저분이 가르쳐주신대로 계산해봤는데.. 저는 반대소 q2가 5로 나오고 q1이 185로 나오네요... 왜그런걸까요? ㅠㅠ
  • @글쓴이
    글쓴이님 맞습니다 ㅋㅋ
  • @발랄한 고마리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28
    감사합니다.ㅠㅠ 계속 풀어봐도 안나와서 ㅠㅠ
  • @글쓴이
    아 맞아요ㅋㅋ 제가 첨자를 잘못썼네요
  • @싸늘한 산부추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39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발랄한 고마리
    말씀하신대로 이윤이 발생하니 단기이고, 애초에 비용함수가 다르다는 점에서 봐도 단기입니다. 문제와는 관련없지만 이윤이 발생하니 다른 기업 진입이 발생할 여지도 있죠.
    그런데 완전경쟁시장에서 단기적으로 기업들이 초과이윤을 누리는 방법은 비용절감입니다. 가격설정 능력이 없으니 가격을 올리지도 못하고, 모든 상품이 동질적임을 가정하니 제품 차별화도 못하죠. 시장에서 받아들이는 동일한 P 수준에서 각 기업마다 AC, AVC가 다르니 초과이윤, 손실(고정비용 회수), 퇴출이 발생하면서 장기균형에서 이윤=0이 되는 것이구요. 즉 꼭 비용함수가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죠
  • @발랄한 고마리
    완전경쟁시장에서도 그냥 단순히 MR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면 우하향합니다. 그런데 P=MR이라 놓는 데는 P를 상수로 가정하니 그런 것이구요. 여기서도 P를 상수로 보고 구하면 P=MR이 성립합니다. 수평선이죠
  • @싸늘한 산부추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38
    감사합니다 ㅠㅠㅠㅠ
    하나하나 캡쳐해두고 그래프 그려보면서 공부할게요! ㅠㅠ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싸늘한 산부추
    맞습니다. 첨언하자면, 완전경쟁시장에서도 장기에 이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산요소에 효율성이 다른 공급이 제한적인 토지등을 포함시킨다면, 장기에도 양의 이윤은 유지될 수가 있어서, 이윤발생->단기로 보는 것은 잘못될 가능성이 있겠네요. 그리고 P를 상수로 가정한다는 것은 좀더 수식을 풀어 보자면 TR=P(Q)*Q를 Q에 대해 Q에 대해 미분하여 MR을 구하면 dP/dQ에 해당하는 항이 0이 되어야하는 것으로 P가 상수가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게 곧 수요자나 공급자가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는 가정이 포함되었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겠네요.
    지적해주셔서 저도 공부가 됐습니다. ㅎㅎ 열공하세요 ^^
  • @발랄한 고마리
    네 정확히는 수량으로 가격을 조정할 수 없고 가격을 받아들인다는 가정때문에 TR=P(Q)*Q가 아니라 TR=pQ (p는 P바, 즉 상수)이기때문에 MR=p가 되는 것인데, 역으로 님처럼 생각해도 문제는 없겠네요
  • 글쓴이글쓴이
    2017.6.11 09:29
    도움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남은 기간 더 열심히 공부해서 받은 도윰 부끄럽지 않게 좋은 결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ㅠㅠ. 다들 기말고사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96663 원자력공학개론 혹은 원자로 이론 질문하나 부탁드립니다..8 냉정한 혹느릅나무 2017.06.10
96662 눈 영양제 추천부탁드려요☆4 명랑한 돌가시나무 2017.06.10
96661 순대 아조씨1 똥마려운 광대싸리 2017.06.10
96660 중도 화사한 술패랭이꽃 2017.06.10
96659 어깨 근막염으로 고생하셨던 분 계신가요 ? 포근한 옥수수 2017.06.10
96658 시험기간만 되면 친한척하는 친구..24 유별난 갈퀴나물 2017.06.10
96657 계절수업료1 육중한 돼지풀 2017.06.10
96656 원어강의 성적기준1 질긴 솜방망이 2017.06.10
96655 도서관 연체료1 포근한 수선화 2017.06.10
96654 PEET vs 의대수능27 교활한 쑥갓 2017.06.10
96653 도서관 갈때9 센스있는 두메부추 2017.06.10
96652 인행심 화목 9시 ㅅㅈㅇ교수님 분반 수강하시는 분!!3 보통의 산딸기 2017.06.10
96651 방금(8시30분경) 넉터에서 헤지스 장지갑(여성용) 잃어버렸어요.1 머리나쁜 실유카 2017.06.10
96650 경영관 노트북 열람실 소란 (학술동아리)10 청아한 벌개미취 2017.06.10
96649 공무원 행정학 스터디1 꾸준한 참취 2017.06.10
96648 자취생 화분10 어두운 만수국 2017.06.10
96647 ><28 잘생긴 배나무 2017.06.10
96646 지방직 영어 토익대체 될까요?1 도도한 며느리밑씻개 2017.06.10
96645 독학 중국어 고수분 계세요?2 꼴찌 새콩 2017.06.10
미시경제학 문제풀이 부탁드려요.37 찬란한 주름잎 2017.06.1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