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대생

글쓴이2017.12.12 23:20조회 수 1038추천 수 1댓글 10

    • 글자 크기
인문대생인데요
마이피누에서 인문대생 하도 까대시니
뭔가 열등감 느껴지네요 ㅠㅠ
인문대생은 열등한 존재들인가요
공대생들 알아듣지 못하는 용어들로 소통하는거 보면 박탈감 느껴지네요
나름 수능 성적 잘받고 오고 죽기살기로 꿈을 향해 발버둥 치는중인데..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열등감은 자기가 만드는거에요. 저도 인대생인데 별 생각 없이 살면 별 생각 없어져요
  • @배고픈 팥배나무
    전 공대생들을 까본적 없는데 왜 그들은 우리를 그렇게..
  • 피곤하게 사시네요
  • 그냥 뭘 몰라서 그래요. 저도 이과지만 인문학 좋아합니다. 인생에 대해 얼마나 깊이 생각하는지 그 차이 아닐까요.
    인문학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르니 그런듯.. 세상이란게 단지 효율성으로만 돌아가는건 절대로 아닌데..
    그냥 쓰니님은 늘 하던데루 마이웨이가시면 됩니다! 힘내세요!
  • 알랭 드 보통의 불안 추천 드립니다.

    타자의 시선에 직접적 불안을 느끼기 보다는 객관적 관점에서 재고를 한 후에 그 시선을 받아들이세요. 만약 누군가 취업률을 근거로 당신이 공부하고 있는 바를 비난 한다면, 철저히 객관화된 입장에서 자신을 바라보세요. 그리고 자신에게 있어 취업이 가장 우선이면, 그 비난은 자신을 불안하게 하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니지만, 그 보다 더 높은 가치가 자신에게 있다면, 그 비난은 가치관이 다른 자들의 독단에 불과합니다. 이런 태도가 그저 책소리밖에 안 된다 생각하시면, 과하지욕의 자세를 가지고 살아가세요. 당신은 당신을 비난하는 자들보다 큰 사람이고 당신을 비난하는 사람들은 시정잡배에 불과하니 대인배의 아량으로 이해해준다는 비겁하지만 효율적인 자세를 가지세요. 한신이 남에게 밥이나 빌어 먹는 사람 일 때는 동네 양아치들도 그를 깔봤지만, 한신은 자신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고 담담하게 그들의 비난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리고 인류사에 손 꼽히는 대장군이 되었죠.

    타인의 시선에 정복 당하면 결코 주체적 삶을 살 수 없습니다.
  • 공대생입니다. 인문, 경제, 통계 3부전공하고 있습니다. 통계를 제외한 제가 인문, 경제공부를 하며 느낀점은 딱 1가지 입니다. 정말 이렇게 비실용적이고 뜬구름잡는 소리가 있구나. 이건 정말 암기과목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인문학적 소양을 갖출려면 그냥 문화생활이나 고전 1가지 더 읽는게 도움이 되겠구나.
    인문대랑 경제 취직 안되는 이유가 다 있구나. 이상 학교다니며 제가 느낀점입니다.

     

    다른 공대생이 무시하는 말 신경쓰지 마세요!. 그들은 자신들이 경험해 보지도 않고 그냥 객관적인 통계만 보고 짖는 소리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제 말은 믿으셔도 됩니다. 제가 직접 경험했으니깐요.

  • @조용한 굴참나무
    당연히 그렇게 느낄 수 있습니다. 애초에 학문이라는게 실용적인 이유로 탄생한게 아니니깐요. 철학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여러 학문들이 파생 돼서 나왔고, 인류사적 필요에 따라 실용성을 띈 학문들도 탄생한 겁니다. 그렇다고 인문학이 현대사회에서 완전히 비실용적인 것은 아닙니다. 이미 국내 대기업에서도 인문학을 바탕으로한 경영관점을 임원진들에게 교육하고 있습니다. 또 국내에서는 미비하지만 중국과 미국의 빅 데이터 분야에서는 인문학ᆞ예술을 전공한 사람들을 채용하고 있구요. 이상적인 경영자의 모델로서 인문학적 소양에 경영학적 관점, 그리고 이공계적 지식을 가진 사람을 뽑는게 괜한 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여전히 인문학 그 자체만으로는 비실용적이지 않냐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용성 자체에 대한 의문을 가져볼만 합니다. 역사적 변환기는 항상 유물론적 이유와 관념론적 이유가 함께 작용했습니다. 특히 데카르트의 자아 발견이라는, 이 '실용적이지도 않은' 생각은 인류가 근대에 눈을 뜨게 했습니다. 실용적이지 않은 한 사상이 수 많은 실용성을 낳은 것입니다. 또 근대국가 형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 중 하나가 문학임을 감안한다면 그 실용성이 결코 작다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가라타니 고진이 근대문학의 종언을 선언 할 때는 정말 문학의 영향력이 단순히 재미에 머물 수밖에 없나라는 회의가 있었지만, 미디어 시대에 돌입하면서 인문학적 사상은 미디어를 통해 대중들 자신이 눈치 채지 못하게 그들의 삶에 녹아 들어가고 있습니다. 물론 실용성=취업에 용이함으로 여긴다면 인문학은 하등 실용성이 없는 학문입니다. 이상 인문학이 완전히 비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에 대한 소견이었습니다. 그리고 인문학 소양에 대해서는 자신이 방 구석에서 세상을 통찰한 칸트 만큼의 지적 수준이 있는게 아니라면,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전혀 자기 전공에 대해 관심 없는 인문학도와 인문학에 관심이 많은 비전공자를 비교하자면 오히려 후자가 그 소양이 더 뛰어나겠지만, 이는 의학과 같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학문이 아닌이상 다 똑같다고 봅니다.
  • @정겨운 담배

    그렇구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또 한번 깨달음을 얻습니다.  

  • @정겨운 담배
    좋은말씀 공감합니다.
    실용적인게 다는 아니지요.
    다만 인문학도들이 말씀하신 내용들을 위해 대학에 갔다고 하면서 취직이 안된다고 징징거리는게 싫을 뿐입니다.
  • 같은 인문대생이 자조적으로 하는 말이든
    타 단대생이 편견에 근거해서 하는 말이든
    인생은 본인 몫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습니다.

    기죽지말고 본인의 길을 잘 찾아보시면 되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57083 안녕하십니까 전 잠재적 로또 당첨자입니다3 안일한 접시꽃 2016.05.22
57082 학생예비군 밥먹는거 질문3 보통의 할미꽃 2013.06.22
57081 피아노 배우려고 하는데요3 부지런한 며느리밑씻개 2013.08.25
57080 아이유 노래 너무좋네요!!3 재수없는 눈개승마 2013.07.25
57079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3 잘생긴 해바라기 2020.04.13
57078 아이와 난데스까3 해박한 은목서 2013.12.05
57077 등록금납부 질문있어요ㅜㅠ3 흔한 대왕참나무 2013.08.26
57076 일반물리듣는데 꼴찌면 F받나요?ㅋㅋ3 의연한 땅비싸리 2018.07.11
57075 이 책 읽어보신분?3 절묘한 망초 2013.04.20
57074 오늘 하트시그널 뺨후려치는3 날씬한 낭아초 2018.07.11
57073 머리 검은색이면 여름에 더 더울까요3 특이한 연꽃 2017.06.01
57072 .3 슬픈 왕고들빼기 2018.03.08
57071 [레알피누] 중도에 사이비3 돈많은 말똥비름 2015.06.06
57070 인자관 006분반잇는데 005나004분반으로 바꿔주실분!3 재수없는 도꼬마리 2018.08.07
57069 아.. 망햤다3 무례한 벋은씀바귀 2013.04.21
57068 서면 사주 추천!3 똥마려운 해국 2018.02.01
57067 부교공 현실3 돈많은 잣나무 2020.01.25
57066 혹시 샛벌 석식 학생증보여주면 천원인가여...?3 참혹한 메꽃 2018.03.28
57065 동계국가근로 질문좀요..3 키큰 쪽동백나무 2013.12.19
57064 부산대 근처에서 유도 배울 수 있는 곳 있나요?3 멋진 섬잣나무 2015.09.0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