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불문학과 부전공 하면...

글쓴이2017.12.29 18:14조회 수 1476댓글 23

    • 글자 크기

심화전공을 하기 싫어서(ㅋ...) 부전공을 하려고 찾아 보던 중, 불어불문학과도 부전공이 된다는 걸 알았습니다.

결심을 거의 굳히긴 했는데...궁금한 점은 해결해야 될 거 같아서요ㅎㅎ

 

 

1. 불어불문학과는 부전공자나 복수전공자가 많은 편인가요?

 

2. 불어불문학과는 점수 받기 어려운 편인가요?

(어느 과든 열심히 하면 점수가 안 나오겠냐만은...학생 수라든지, 교수님 성향들로 점수가 많이 달라지기도 하잖아요?)

 

3. 불어불문학과를 부전공한 후에는 불어를 얼만큼 구사할 수 있을까요?

(완전한 회화가 안 될 거라는 건 압니다ㅎㅎ불어권 국가를 편히 여행할 수 있는 간단한 회화 정도만 되도 좋겠다-싶은데 그 정도까지 하려면 따로 더 공부를 해야 하는지...같은 걸 알아서 미리 준비하면 좋을 거 같아서요)

 

4. ...혹시 부전공으로는 아무 의미도 없다! 하지마라! 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오지랖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올려 주세요ㅠ

(거의 결심했다고 했지만...사실 아직도 고민이 많습니다ㅋㅋ)

 

 

저 4개의 질문을 다 답해 주시지 않아도 괜찮으니까 일부라도 아는 대로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이 생각한 것보다 길어졌는데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누구든지 답해 주신다면 무한감사하겠지만 불어불문학과 다니시는 분이 대답해 주신다면 더 특별히 감사하겠습니다ㅎㅎ!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상식적으로....불문과를 주전공으로 전공하는사람들도 취업이 힘든데 부전했다고 불문계쪽으로갈때 메리츠가있을까요... ?
  • @명랑한 보풀
    글쓴이글쓴이
    2017.12.29 18:59
    아, 불문계 쪽으로 갈 생각은 없어요ㅎㅎ
    위에 써놨듯이 단순히 심화전공 하기 싫어서 부전공하는 거고요, 그나마 불어에 관심이 가서 결정한 거랍니다ㅎㅎ
    답변해 주셔서 감사해요!
  • 불문과다니는 내친구도 불어못하더라
  • @훈훈한 홍가시나무
    글쓴이글쓴이
    2017.12.29 19:01
    단순한 회화도 못할 정도인가요?ㅠ
    저는 쓰기, 읽기 같은 복잡한 건 필요 없고 단순히 여행 다녀올 만큼의 회화발음 정도만 익히면 만족할 거 같은데요ㅠ
    그보다 더 공부한다면 그건 단순히 불어에 대한 흥미랍니다ㅎㅎ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 @글쓴이
    여행다녀올 만큼 정도면 차라리 학원을 단기로 다니는게 더 나을거같네요
  • @훈훈한 홍가시나무
    너 내친구냐?
  • 인문대에 불어못하는 불문학과 독어못하는 독문학과 널리고널림
  • 무슨 과목이든 부전공은 메리트가 거의 없어요 21학점 정도로 불어권 국가를 편한하게 여행할 수 있는 수준의 회화는 힘들거같고 +a로 더 공부하셔야 가능할듯 다만 아주 도움이 안되는건 아니니 공부하기 좀 수월해지긴 하겠죠 어문계열 수업이 아마 회화위주가 아닐텐데요 커리큘럼을 잘 보세요~~~
  • @기쁜 먼나무
    글쓴이글쓴이
    2017.12.30 01:38
    그럼 부전공의 존재 의의는 심화전공 피하는 정도군요ㅋㅋ;
    그래도 공부하기 수월해진다고 생각하니까 희망이 좀 생기네요ㅎㅎ
    친절한 조언 감사합니다!
  • 인대 부전 왜함.. 공부량 그지같이 많고 학점따기 힘든디.. - 현 인대생 왈
  • @난폭한 노랑꽃창포
    글쓴이글쓴이
    2017.12.30 01:42
    오 현 인대생님!
    어느 과이신지는 모르겠지만 공부량 엄청 많으신가 봐요ㅎㄷ;
    하긴...언어 하나 배우는데 그렇게 쉽진 않겠죠?ㅠ
    흥미로 듣더라도 학점 확보는 좀 해야되는 입장이라 노란꽃창포님 말대로 양 많고 학점 따기 어렵다면 부전공은 좀 부담되긴 하네요ㅇㅇ;
    답변 감사합니다!
  • 윗 댓글 ,, 실화냐
  • 개비추 ㄹㄹ 원래 무슨 과신지 모르겠지만 좋은 선택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불어불문 전공생이 부족하나마 답변을 드리자면,
    1. 꽤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수업을 듣든 부전복전 분들이 많이 보이고 때로는 전공생보다 더 열심히 하시더라구요.

    2. 어려운가... 라고 물어보면 딱 떨어지게 말씀은 못 드리겠네요. 타단과대와 비교했을때 쉬워보이긴 하는데 정작 하면 솔직히 죽고싶습니다... 공대로 치면 실험대신 발표, 레포트... 이런 거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전공이면 똑같이 개같다는 말입니다...) 그래도 전선은 많아봐야 인원이 열명 내외라 잘 골라서 들으시면 학점은 괜찮을 것 같네요.

    3. 사실 저건 정말 하기 나름인데, 전공생들에 따라서도 천지차이거든요. 물론 학점 이수를 위해 필수적인 실력은 갖추고 있지만, 1학년 수업과 회화 수업 외에는 실제 회화보다는 이론적인 성격이 더 강해요. 그래서 학교 밖에서 더 공부를 하는 분들이 자격증을 따고, 교환학생을 갑니다. 그래서 부전공이라면, 어느 정도에 오르실려면 전공생보다 좀 더 많은 부분을 스스로 하셔야 할 것 같아요.

    4. 결국 제가 하고 싶은 말은, 프랑스어를 좋아하셔서 부전공을 하시는 건 너무너무 좋은 일이지만, 그만큼 언어라서 더 하셔야 할 것들이 있다는 말이에요. 언어를 배우는 건 생각보다 귀찮고 빡치는 일이니까요. 그렇지만 그래도 한번쯤은 배워볼만한 언어라는 생각은 드네요. 더 궁금한 것이 있으시다면 말씀해주세요!
  • @멍청한 애기현호색
    안녕하세요 전 글쓴분은 아니지만 부전공 생각이 있는 학생입니다 혹시 비전공자가 듣기에도 부담이 조금 덜 한 수업 추천 해주실 수 있을까요? 수강 편람 열어봐도 감이 안와서요 ㅜ
  • @화난 시닥나무
    죄송합니다ㅠㅜ 답글이 늦었네요 제가 부전공 이수과목을 몰라서 그런데 쪽지로 말씀해주시겠어요?
  • @멍청한 애기현호색
    아 저는 더 늦게 보았네요ㅠㅠ이 게시판은 익명이라 쪽지 보내기가 안되나봐요ㅠㅠ그래서 혹시 댓글 보시길 바라면서 달아요.
    필수는 프랑스문학개론, 프랑스언어학개론, 프랑스어강독이에요 그외에 최소 4개이상 더 들어야 하구요..!ㅠㅠ
  • @화난 시닥나무
    아 이번에 부전공 처음하시는 거라면 프랑스문학개론 들으시는 걸 추천해요!! 언어학개론은 2학기고, 강독은 좀 난이도가 있으니까요. 프랑스어가 아직 약하시다면 1학년 전공기초를 듣는 게 좋아요!! 1학기엔 기초프랑스어나 프랑스어문법 같은 걸 추천드려요!! 문학에 좀 더 관심이 있으시다면 프랑스드라마도 괜찮습니다. 그치만 기본적인 불어지식이 있어야 해서 다른 언어수업과 병행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그런데 이번학기 수강편람이 아직도 안 나와서 당황스럽네요;; 언제 나올까요...
  • @멍청한 애기현호색
    이제 나왓네요..!ㅎ
    와 진짜 정말정말 감사드려요ㅠㅠㅠㅠ 감동이에요ㅠㅡㅠ커피라도 한잔 정말 사드리고 싶어요ㅠㅠㅠㅠ어떻게 방법이 없으려나 ㅠㅠ진짜 감사합니다...!!ㅎㅎㅎㅎ
  • @화난 시닥나무
    앗ㅋㅋㅋㅋㅋ 도움이 되서 정말 다행이네요!! 담학기 전공기초 재수강할 때 뵈어요....ㄸㄹㄹ....
  • @멍청한 애기현호색
    아하ㅎㅎ넹넹 꼭 뵙길..!;)
  • @멍청한 애기현호색
    글쓴이글쓴이
    2018.1.23 08:15
    정성 어린 글 달아 주셨는데 이, 이제 보다니!ㅠ
    죄송합니다ㅠ
    아직도 고민 중에 있지만 많은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ㅠ
    정말 감사합니다!
  • @글쓴이
    앗 아닙니다!! 나중에라도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올 한해도 잘 보내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0309 부산대 교직원 전화응대 태도...38 생생한 거제수나무 2017.07.26
160308 [레알피누] 부산대 학고 규정이라는데35 조용한 익모초 2017.06.20
160307 옷입는게 두렵습니다31 뚱뚱한 파인애플민트 2015.09.06
160306 창원대 한전vs부산대 현차vs서울대 lg전자8 건방진 범부채 2014.11.03
160305 어제 부산대 방송 본 사람?24 화사한 모감주나무 2014.08.25
160304 정문 혼밥식당추천부탁합니다21 부지런한 개암나무 2014.07.04
160303 여자 타투 질문좀할게요17 병걸린 꽝꽝나무 2014.03.05
160302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20 수줍은 꽃창포 2014.02.23
160301 뉴숯불이 왜 인기가 있는 건가요?18 허약한 꽃마리 2013.06.17
160300 마른남자 vs 뚱뚱이 ?21 자상한 동백나무 2012.07.15
160299 울학교 왜 이러죠...18 유치한 차나무 2018.03.30
160298 설마했는데 역시였네요4 코피나는 흰괭이눈 2016.10.05
160297 부산대 ioi왔나요?17 특이한 백목련 2016.04.26
160296 처음 간 미용실에서 미용사가 명함을 안 줬는데 무슨 뜻인가요.5 늠름한 관중 2015.04.09
160295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27 무례한 회양목 2013.12.23
160294 학교내 과도한 애정행각34 재수없는 미국쑥부쟁이 2012.09.08
160293 리트140도 학점이 낮으면 떨어지나요?15 우아한 대극 2020.03.13
160292 한과목 C- 떳는데 몇점인가요?40 밝은 수양버들 2018.07.03
160291 북문 한솥 할머니11 사랑스러운 수선화 2014.07.24
160290 14 학번 후배님들 도와주세요18 머리좋은 풍접초 2014.06.06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