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브루가 더치에요??

글쓴이2018.04.07 22:05조회 수 1589댓글 15

    • 글자 크기

제곧내 임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같은 것임당
  • @착실한 개곽향
    글쓴이글쓴이
    2018.4.7 22:10
    아하 혹시 로제는 원두(?)어디꺼 쓰나연
  • @글쓴이
    글...쎄용...
  • 더치가 일본에서 유행시킨 말인데 거꾸로 영어권 국가에도 퍼진말임

    정식명칭은 콜드브루가 맞아요
  • @한가한 라일락
    글쓴이글쓴이
    2018.4.7 22:39
    더치페이
  • ㅇㅇ
  • 콜드브루 개좋아하하하하
  • .
  • @유쾌한 투구꽃
    말도 안 되는 소리죠.
  • 아마 그게 항해중에는 따뜻한물로 커피를 내릴 수 없어서 찬물로 내린 커피라 콜드브루인데 네덜란드분들이 즐겨마셔서 더치커피라 불리는걸거에요!
  • @날씬한 어저귀
    글쓴이글쓴이
    2018.4.8 01:07
    더치살라고 하는데
    브라질 콜롬비아 인도네시아 에티오피아 과테말라 케냐 중에 추천점여
  • @글쓴이
    전 개인적으로 에티오피아 산 원두로 내린 더치가 깔끔하고 괜찮더라고요@_@
    근데 갠취인 부분이라 추천은 제가 잘..ㅠㅠ
  • 더치커피는 일본에서 유행시킨 말입니다.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 식민지에서 네덜란드 선원들이 원두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빨리 커피를 추출해야 했는데, 항해 중에 뜨거운 물 끓이기가 번거로워서 찬물에다가 원두 담궈서 그걸 우려먹으니 독특한 풍미가 있었고, 그것이 항해경로상 일본에 전해졌다는 것이 일본의 주장인데요. 실제로 네덜란드에는 그러한 기록이 일체없으므로, 일본에서 만들어낸 근거없는 낭설이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콜드브루는 더치커피의 미국식 표현입니다. 요즘에는 콜드브루라는 명칭을 많이쓰죠.
  • 더치커피는 과거 네덜란드 상인이 배에서 쉽게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 고안된 추출 방식이라합니다
    이러한 방식의 커피를 일본 상인들이 상업화의 과정에서 (네덜란드=더치) 더치커피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추출 방식은 물을 한방울씩 떨어뜨려 추출하는 점적식입니다.
    과거에 상온수 위주의 추출이 이루어진 반면 현재는 위생상의 문제로 인해 찬물로 추출하는 것이 대세입니다
    더치커피의 용어는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된다고 보셔도 될듯합니다.
    미국이나 유럽 심지어 네덜란드에서 조차 더치커피라는 단어를 모른답니다
    콜드브루
    글자 그대로 찬물로 추출한 커피 입니다
    대기업에서 콜드브루 명칭을 사용한게 불과 1년정도 되었습니다
    그래서 콜드브루 커피를 연상하게 되면 대량생산이 떠오르며
    분쇄된 커피를 물 속에 담궜다가 빼내는 추출 방식을 침출식이라 표현합니다.
    콜드브루 커피는 미국이나 유럽에서 사용되는 명칭입니다
    더치커피의 추출 방식에는 점적식과 침출식의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콜드브루 커피의 추출 방식을 연상하면 침출식이 떠오르지만
    찬물로 내려지는 커피라는 점에서는 더치커피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더치커피와 콜드브루는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더치커피의 추출 방식은 점적식과 침출식이 있습니다
    콜드브루의 추출 방식엔 침출식과 점적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대부분의 방식은 점적식을 사용하고
    콜드브루를 추출하는 대부분의 방식은 침출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더치커피와 콜드브루의 커피를 이야기 할때 관점을 어디서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더치커피와 콜드브루가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네이버지식인검색-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8963 학교 근처 조립 컴퓨터 수리ㅜㅜ15 처참한 튤립 2017.09.16
18962 물회 잘하는곳 있나요15 뛰어난 잔털제비꽃 2016.06.22
18961 노래스트리밍 네이버뮤직 괜찮은가요??15 의젓한 둥근바위솔 2016.10.12
18960 부산에서 접근성좋은 경남여행지 추천좀요~~15 병걸린 수리취 2013.11.04
18959 중도에서 퀴즈 준비하는데 욕나오네요15 수줍은 접시꽃 2013.03.09
18958 [레알피누] 폭행 관련 경험 있으신분들 조언부탁드려요..15 괴로운 수세미오이 2018.07.04
18957 그냥 시험과 고시는 구분하여 쓰는게 좋지 싶습니다.15 촉박한 은대난초 2013.09.05
18956 여름방학을 맞아서 추천 영화!15 깜찍한 칼란코에 2015.06.17
18955 [레알피누] 독립운동가 네이밍 도시락에 이승만대통령이 들어가서 논란이라는데여15 육중한 야광나무 2019.04.09
18954 진짜 위생관념 없는사람 많네요15 활달한 낙우송 2014.09.25
18953 시험장에 부모님 데려다주시는거15 해맑은 골풀 2019.08.03
18952 치과 왜 무서워하죠?15 화려한 월계수 2013.06.03
18951 교환학생 다녀오신 선생님들15 친숙한 용담 2019.08.09
18950 길고양이 글 논란을 보고15 초조한 일월비비추 2017.12.20
18949 전과 결과나왔나요?15 화사한 자라풀 2017.01.24
18948 대우조선해양15 부지런한 베고니아 2012.11.26
18947 한국 대학생들의 경쟁.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15 병걸린 수송나물 2016.11.11
18946 발표가 무서워요15 창백한 배롱나무 2013.11.19
18945 [레알피누] 김판기 경제학 아시는 분 계신가요15 천재 잔털제비꽃 2017.11.12
18944 공익인데 눈물겹군요..15 허약한 박하 2014.03.03
첨부 (0)